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스페셜
"
뇌
"(으)로 총 888건 검색되었습니다.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같은 신축성을 지원한다. 이영희 단장은 "앞으로 터널링 메모리를 시냅스로 사용해
뇌
세포의 신호 전송 방식을 그대로 모방한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후속 연구가 완성되면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디지털기기에서 알파고와 같은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 소비와 발열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알려져 있고 기억력 감퇴에도 연관돼 있다. 극미세입자가 후각계를 통해 침투해
뇌
에 손상을 일으켜 치매를 유발한다는 메커니즘이 그럴듯해 보이는 이유다. 사우스캘리포니아대의 역학자 지우치우안 첸 박사는 최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 세계 치매 환자 발생의 21%가 대기오염 때문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용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풍부한 어휘와 복잡한 문법을 구사하려면
뇌
에서 문장을 만드는데 그만큼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속사포처럼 말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말을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짧은 시간에 과도한 정보가 들어오면 소화할 수가 없다. 중요한 말을 하기 전에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시스템즈 바이올로지(Molecular Systems Biology)'에 게재됐다. 그는 "광우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은 조기 진단이 중요한데, 이 연구를 통해 유전자 수준에서 조기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진단 마커 뿐만 아니라 광우병 치료를 위한 약물 타깃 후보 물질까지 제시할 수 있었다"며 "무엇보다 이 연구성과는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 시냅스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서 자폐 치료 실마리 발견 03. 시냅스
뇌
질환 연구단 |
뇌
속 100조개 시냅스의 조절 원리를 밝히다 04.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 | 음식물의 장내 면역 반응 억제 원리 규명 05. RNA 연구단 | 생명 활동의 조절자 꼬리를 드러내다 06. RNA 연구단 | 마이크로 RNA 탄생의 비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늦추는 사회적 시차를 겪게 하면 학습과 기억력이 크게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뇌
세포의 염증수치가 올라가 있고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에서는 신경생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동물실험 결과가 아니더라도 이런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는데 우리의 경험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광우병 같은 프리온 질병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여러 퇴행성
뇌
질환들의 배후에는 변형된 단백질의 축적이 있다며 이 문제의 해결이 치료법을 찾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단세포 진핵생물인 효모를 이런 질환의 모델 생물로 선택해 연구를 진행했다. 효모를 연구해 어떻게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2006년 베트남에서 열린 수학교육 관련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했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뇌
에 큰 부상을 입었고 후유증으로 언어장애가 생겨 오래 재활치료를 했는데 그가 개척한 교육방법론이 적용된 프로그램이었다고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
2016.12.23
자리를 잡았다. 브루너는 시지각(visual perception)이 단순히 눈을 통해 들어온 감각정보를
뇌
에서 처리한 결과가 아니라 감각정보와 정신요인이 합쳐진 결과임을 여러 실험으로 보여줬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큰 동전은 더 크게, 작은 동전은 더 작게 지각하는데 가난한 집 아이들은 부잣집 아이들보다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해와 진실
2016.12.21
지나치게 모자라면 혈압과 수분 조절 이상, 소화불량과 우울증, 심각하면
뇌
경색이나
뇌
출혈까지 초래할 수 있다. 좋은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이 있다? 흔히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HDL 콜레스테롤은 쓰고 남은 LDL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LDL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