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주요 먹이인 크릴의 감소를 추측해 볼 수 있겠죠. 그럼 크릴은 왜 줄었을까요? 크릴은 주로 바다 얼음 아래 사는 식물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데, 온난화로 바다 얼음이 감소하면 크릴의 먹이도 줄겠죠. 또한, 펭귄 수 감소는 이들의 포식자인 도둑갈매기나 표범물범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 ...
-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3년 뒤 쯤에는 경쟁을 통해 살아남은 인증 방식 한두 개만 주로 사용될 것”이라고 분석했어요. 일단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훼손되지 않아야 하고, 시간이 지연되면 안 되며, 정보를 알아보지 못하게 암호화해야 해요. 또 사용 기록을 일부러 지우거나 몰래 정보를 ... ...
- [기획] 폴리매스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상의 수상자는 7만 7739개의 댓글 중 5115개의 댓글을 단 박준혁 회원입니다. 박회원은 주로 ‘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서 다른 회원이 낸 문제에 풀이 댓글을 달거나 자신이 올린 문제에 달린 댓글에 답글을 적었습니다. 앞으로도 박 회원의 왕성한 활동 기대할게요~. 변호사로 바쁜데도 틈틈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물고기 튀김’을 뜻하는 노르웨이어 ‘크릴(krill)’에서 이름이 유래했어요.크릴은 주로 남극에 살아요. 그 양이 약 5억~30억톤에 달하는데, 인류가 1년간 소비하는 수산물이 1억 톤에 미치지 못하는 것에 비하면 어마어마하지요. 남극 크릴은 고래와 해표, 펭귄 등 남극에 사는 모든 동물의 먹이가 ... ...
- [특집] 빠져나와야 짜릿하다! 방 탈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되는 곳도 있다. 혼자서 하는 경우도 있고 최대 8명이 팀으로 입장해 진행하기도 하지만 주로 2~3명이 즐긴다. 예약제로 운영되며 예약 시간 10분 전에 도착하면 방에서 사용되는 자물쇠나 주의사항에 관한 간략한 설명을 듣게 된다. 그리고 스포일러나 휴대폰 촬영을 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쓴다. ... ...
- [기획] 이런 기사가 있었지! 다시 보는 수학동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원리를 ‘함수’를 통해 쉽게 설명한 기사였죠. 이밖에도 확률과 알고리듬 등을 주로 다뤘고, 코로나19도 3번 기사화했습니다.수학동아 독자가 꼽은 최애 만화는 ‘해결사 HAN의 수’입니다. 11번의 기사 투표 중 7번이나 1위를 차지했습니다. 재미있는 만화를 보면서 수학 지식도 쌓을 수 있다니, 이게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날까지, 나는 달린다! 알록달록 예쁜 거대 트리가 완성됐어요. 크리스마스 트리는 주로 침엽수를 사용해 만들어 멀리서 보면 세모 모양이죠. 갑자기 재밌는 도형이 생각나네요. 바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요! 자기 유사성을 가진 프랙털위쪽에 보이는 삼각형이 바로 시에르핀스키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무엇을 더 좋아하나요?제가 낸 문제가 너무 단순한 문제라는 생각이 들어서 지금은 주로 다른 회원이 낸 문제를 풀고 있어요. 저만의 문제 고르는 방법이 있다면 대표 이미지와 문제 제목을 보고 풀 수 있을 만한 문제를 고르는 거예요. Q 창우 학생이 느끼는 폴리매스의 매력은 뭔가요?다양한 ... ...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지점에서 나타나서 가장 낮았고, 이후 점점 높아져 19세기에는 약 3분의 1 위치에 주로 있었습니다. 19세기 작품인 폴 고갱의 ‘루앙 풍경’과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포도 수확’은 수평선이 비슷한 위치에 있었습니다.정 교수는 “서양 풍경화의 구도와 구성 비율이 무작위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이용해서 말이다. 도산이 설명하는 기계학습에 대해 알아보자. 이미지를 분류할 때 주로 사용하는 기계학습 기술은 2014년 구글 브레인의 컴퓨터과학자 이안 굿펠로우가 처음으로 제안한 ‘GAN(생성적 적대 신경망)’ 알고리듬이다. 예를 통해 그 원리를 알아보자. 지폐 위조범과 경찰이 있다.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