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사용 영국에서는 수학 수업에 컴퓨터와 연결된 전자칠판을 사용한다. 전자칠판은
큰
모니터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칠판 위에 그림을 그리고 복사해서 붙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형을 그린 다음 좌우를 바꾸거나 움직이면 도형의 대칭과 회전을 쉽게 공부할 수 있다. 식을 풀거나 그래프를 그릴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일은 안 하고 한 가지만 할 때 가능한 얘기야.선물을 준비하는 데는 시간이 별로 안 들어.
큰
창고와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지. 또 내가 다른 일을 하는 동안에 컴퓨터가 다 알아서 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지. 그런데 선물을 준비할 때 꼭 고려해야 할 게 있어. 썰매 하나에 모든 선물을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간다면 170년 정도 걸리지만 빛의 속도로는 8분이면 도착한다. 8분과 170년만 해도 매우
큰
차이지만, 별까지의 거리는 훨씬 더 멀다. 그래서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별과 구분해 관측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별빛을 반사해 빛나는 행성은 별 자체의 빛에 비해 수천만 배 어둡기 때문에, 별과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금처럼 성공적인 체외수정 기술로 이어져 새로운 의학 분야가 등장했고 불임 부부에게
큰
희망을 안겨줬다고 평가했다.앞으로 전문가들은 생명 윤리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불임을 해결하려는 연구를 계속해야 할 것이다. 난자가 생성되는 과정과 노화하는 과정에 대해 세세히 연구하고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개발한 인간형 로봇 ‘마루’가 사람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하는 모습이 공개돼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올해는 전시장 안내 로봇 ‘이디’와 세계 최초의 양팔형 휴머노이드 드럼 로봇 ‘불카노스’, 박과와 가지과 식물의 접붙이기를 알아서 하는 접목로봇 ‘그래프팅’ 등이 대거 선보일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장비는 한국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국제 프로젝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기초연은 이 외에도 7T짜리 FT-ICR과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도 보유하고 있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다른 선진국보다도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기초연의 박영목 박사와 유종신 박사는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외계의 박테리아가 먹이로 삼는 물질이 사람의 몸을 이루는 물질과 같다면 인류에게는
큰
위협이 된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고 숙주를 이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숙주의 유전물질을 이용하는데, 외계생명체와 지구생명체가 유전물질이 같을 가능성은 매우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평균 소리 강도는 90~100dB이다. 이는 인간의 평소 목소리를 훨씬 뛰어 넘는다.
큰
소리에 묻혀 작은 소리가 들리지 않는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가 성악가에게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비밀은 공명에 있다. 사람의 공명관은 코와 입 사이의 인두강에서 구강으로 이어지는 주공명관과 비강으로 ... ...
제주도 닮은 에트나 산 출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겼다는 연구 결과를 ‘지질학’지 10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에트나 산은 유럽에서 가장
큰
화산(높이 3323m)으로 기원전 4세기경부터 지금까지 90회 이상 분출했다. 에트나 산 일대에는 한라산 주변의 ‘오름’과 같은 기생화산이 260개가 넘는다. 한라산에 있는 오름은 360여 개 정도다.보통 화산은 지각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 교수는 재미와 보람을 꼽는다.“저는 진로에 대해 문의하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가장
큰
재미를 느끼는 분야를 찾아 거기에 매진하라고 조언해 줍니다. 전망이 좋을지, 경쟁이 치열할지 물으며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자신이 진정 하고 싶은 일을 즐겁게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지요.”이 교수는 ... ...
이전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