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합성법 가운데 팔라듐촉매 교차결합 반응법이야 말로 유기화합물을 만드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미국화학회 회장인 퍼듀대조셉 프랜시스코 교수도 “이들의 업적이 인정받는 건 시기의 문제였을 뿐”이라며 노벨상 선정이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4~5년 전 은퇴해 현재 아내의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한국은 핵융합 기술 발전에 특히 유리하며, 이미 세계 핵융합 연구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TER와 IAEA와 같은 국제기구에서 이렇게 한국의 역할을 강조하는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한국의 핵융합실험로 KSTAR의 기술이 ITER에 적용된 기술과 같기 때문이다. 초전도 자석을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장비는 한국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국제 프로젝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기초연은 이 외에도 7T짜리 FT-ICR과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도 보유하고 있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다른 선진국보다도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기초연의 박영목 박사와 유종신 박사는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평균 소리 강도는 90~100dB이다. 이는 인간의 평소 목소리를 훨씬 뛰어 넘는다.
큰
소리에 묻혀 작은 소리가 들리지 않는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가 성악가에게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비밀은 공명에 있다. 사람의 공명관은 코와 입 사이의 인두강에서 구강으로 이어지는 주공명관과 비강으로 ... ...
제주도 닮은 에트나 산 출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겼다는 연구 결과를 ‘지질학’지 10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에트나 산은 유럽에서 가장
큰
화산(높이 3323m)으로 기원전 4세기경부터 지금까지 90회 이상 분출했다. 에트나 산 일대에는 한라산 주변의 ‘오름’과 같은 기생화산이 260개가 넘는다. 한라산에 있는 오름은 360여 개 정도다.보통 화산은 지각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 교수는 재미와 보람을 꼽는다.“저는 진로에 대해 문의하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가장
큰
재미를 느끼는 분야를 찾아 거기에 매진하라고 조언해 줍니다. 전망이 좋을지, 경쟁이 치열할지 물으며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자신이 진정 하고 싶은 일을 즐겁게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지요.”이 교수는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구할 수 있습니다.지구과학Q1. [민감성, 융통성] 21세기 과학계뿐 아니라 인류 전체의 가장
큰
화두는 지구온난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마다 기록을 경신해가는 최고 온도 기록과 길어지는 여름은 지구온난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피부로 느끼게 해준다. 그런데 올해는 무더운 여름이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별은 4분의 3이 수소, 4분의 1이 헬륨으로 이뤄진 가스 공과 같다. 이 가스로 풍선을 채우면 가스는 풍선의 압력에 막혀 도망가지 못한 채 둥그렇게 모인다. 하 ... 유도한다. 중성자의 충돌이 핵분열의 원인이 되는 이유와 인위적 핵분열에 질량수가
큰
원자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
문화재 사랑은 느티나무 심기부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느티나무가 꼭 필요하다는 뜻이랍니다.연구팀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기둥으로 쓸
큰
느티나무를 구하기가 어렵다며, 문화재 보호를 위해 느티나무를 잘 심고 가꿔야 한다고 주장했답니다 ... ...
최악의 석유 유출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엑손발데스 호 사고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석유가 흘러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큰
사진은 사고 5일 뒤에 미국항공우주국의 해양위성이 찍은 사진이에요. 그리고 작은 사진은 지난 5월 2일, 유럽우주국의 환경위성이 찍은 레이더 영상이에요(화살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석유 흔적이 점점 ... ...
이전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