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② 우린 이걸 ‘기후위기’라 부르기로 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45개 지역 중 41개 지역이 붉은색을 띤다. 붉은 지역은 1950년대 이후 폭염이 잦아진 곳이다. 이렇게 폭염이 잦아진 데에 기후변화의 영향이 얼마나 있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까만 점)도 ‘기후변화 탓’이라고 말해준다. 까만 점은 인간 활동으로 배출된 온실가스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 정도를 ... ...
- [특집] 어린이가 더 행복한 사회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을 내셨어요.저는 동생들과 일주일에 한 번씩 산이나 바닷가에서 쓰레기를 주워요. 어떤 곳은 정말 주워도 주워도 끝이 없을 정도로 쓰레기가 많지만, 나 하나라도 조금씩 주우면 조금이라도 나아지지 않을까 생각해요. 사람들이 쓰레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좀 알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
- [통합과학 교과서] B612 소행성의 진짜 위치는 어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어린 왕자를 막았어요.“저 별의 방향대로 운전하면 안 돼요. B612의 실제 위치는 저 곳이 아니거든요.” 통합과학개념 이해하기 중력이 별의 경로를 구부러뜨린다? 물건을 손에서 놓으면 바닥에 떨어져요. 17세기 영국의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은 이 현상이 ‘중력’ 때문라고 설명했어요. 뉴턴은 ...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연구소는 어떤 곳? 어린이 연구원들이 ‘쓴맛’으로 꼽은 초등수학 내용을 달콤하게 바꿔 드려요. 이번 주제는 ‘각과 각도’예요. 우리 주변에서 다양한 각을 찾아보고 각도의 계산을 쉽게 하는 비법을 그림으로 알아봐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 ...
- 수콤달콤 놀이공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있는 자리에서 수콤이 있는 곳까지 대관람차는 225°를 움직였고, 다시 상콤이 있는 곳까지 135°를 더 움직이면 360°를 돌아 제자리로 돌아가게 돼요. 각도기로 재면 180°까지만 잴 수 있지만, 각도의 합을 이용하면 이처럼 180°보다 큰 각의 크기도 구할 수 있지요. 특히 어떤 물체가 회전한 정도를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5화. 혜성에서 만난 뜻밖의 생명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저를 나무라고 하나요?”딱지는 어리둥절했지만, 만약 이 나무가 평생 혼자서 이곳에 있었다면 자신이 무엇인지 모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네. 나무가 맞아요. 저 아래 행성에 당신 같은 나무가 많이 살아요. 므티 족이라고 해요.”“아래가 뭐죠? 행성은 또 뭐죠? 므티 족이요 ... ...
- [인터뷰] 논리적인 수학과 섬세한 베이킹의 만남, 조한빛 파티시에수학동아 l2022년 09호
- 회사에서 일하며 사업에 필요한 전략 컨설팅을 배우고, 주말에는 영국 런던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며 조그만 포장마차를 운영했어요. 제가 먹는 걸 좋아해서 요식업이 눈에 들어왔거든요. 불고기 버거와 퓨전 제육볶음을 팔았는데 정말 잘됐어요.” Q&A 파티시에로 진로를 바꾼 수학도! Q. ... ...
- [킹앤유] 사물함에 깜짝 선물 숨기기 대소동!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거 아나요? 수학과 연구실은 실험장치 대신에 칠판과 책상이 있답니다. 수학과답죠? 이곳에서 수학 이론을 공부하고 교수님께서 주신 수학 문제를 풀다 보니 벌써 방학이 끝나버렸네요. 하하. 하지만 연구실에서만 시간을 보낸 건 아니에요. 소모임을 만들어서 친구들과 맛있는 것도 먹고 책을 같이 ... ...
- [기획] 꿀벌, 어째서 감쪽같이 사라진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아무도 모르는 곳에서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꿀벌들이 어디서, 왜 대규모로 사라지게 됐는지, 그 이유를 알아볼까요? 꿀벌이 자라나는 데 필요한 꽃꿀과 꽃가루를 제공하는 식물을 ‘밀원식물’이라고 해요. 우리나라에서는 아까시나무가 대표적이에요. 아까시 꽃에서 ... ...
- [3교시]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팀은 각자 속한 지역 즉, 연고지를 가져 두 팀이 경기할 때는 서로의 연고지 중 한 곳에서 경기를 치러요. 이때 한 팀의 총 경기에서 홈 경기 수와 원정 경기 수가 같으면서, 한 번 경기를 치른 팀과 연속해서 세 경기를 치르도록 경기 일정을 짜야해요. 예를 들어 A, B, C, D팀이 있다면 화, 수, 목요일엔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