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불렀다. “남주영.”지수가 옆에 있었다. 나는 놀라서 벌떡 몸을 일으켰다. 통증이 몸 곳곳에서 비명을 질렀다. 내가 혼란스러워 하면 늘 그렇듯 지수가 설명해주었다. “찰과상이래. 근육들이 놀라서 당분간 쑤시듯이 아플 거래. 너 또 앞뒤 안 재고 달리다 넘어졌지? 그러다 차라도 치이면 죽어 ... ...
- [기획] 찾아라 지구를 구할 친환경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어떻게 대응하는지 지켜보겠다며 편지를 보내왔어. 편지는 우리나라 대기업 10곳에 보내졌지. 화석 에너지 의존을 멈추지 않으면 투자한 금액을 돌려받겠다는 이 경고, 경영인이라면 악몽 같은 일을 막기 위해서라도 친환경 에너지를 찾아야겠어!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찾아라 ... ...
- [기획] 원자력과 LNG가 친환경? 논란의 택소노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있어요. 지금까지 핵쓰레기통을 만들기로 한 곳은 전 세계에서 핀란드와 스웨덴 단 두 곳뿐이에요. 그마저도 40~50년에 걸쳐 합의를 이뤄냈을 만큼 어려웠죠. 이러한 단서를 둔 건 EU에서 원자력 에너지의 안정성을 중시한다는 것을 의미해요. 기후솔루션 한수연 연구원은 “한국에도 고유의 K ... ...
- [통합과학 교과서] 안드로메다를 구해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그래서 항법 위성으로 많이 쓰여요. 대표적인 항법 장치인 GPS를 이용하면,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3기 이상의 인공위성과 통신해 ‘삼변측량’이라는 수학적인 방법으로 GPS 기계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고도 3만 6000km의 높은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을 ‘정지궤도 위성’이라고 해요. ... ...
- 뒤죽박죽 쓰레기, 다시 살리는 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리사가 들고 있는 왼쪽 꾸러미를 보세요. 리사는 왜 사이다 캔, 탄산수 병, 우유갑을 한곳에 모았을까요? 세 가지 재활용품의 공통점은 모두 초록색이라는 거예요. 오른쪽 꾸러미에 든 재활용품은 모두 입구가 좁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병이라는 공통점이 있지요. 이처럼 같은 ... ...
- [퍼즐 마법학교] 텔레포,옷장으로! 순간이동 마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이동할 가장 안전한 공간을 떠올리세요. 단, 문이 있어야 해요.”교수님의 말씀에 생각난 곳은 내 방 옷장 안이었어.“이제 ‘텔레포’라고 주문을 외치며 마법 지팡이를 휘둘러요. 모두 준비!”지팡이를 드는데 갑자기 주변이 흐릿해지면서 굉음이 들렸어.그리곤 내 옆에서 불길이 치솟았지. 여긴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네더월드 정복하기 1. 차원문 넘어 네더 요새로!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찾아야 해요. 따라서 네더 요새 X, Z 좌표에 8을 곱한 (X = -2320, Z = 1880)인 지점을 찾아 그곳에 차원문을 지어 넘어가면 돼요. 오버월드의 해당 좌표에 네더 차원문을 짓고 넘어가니 (-287, 74, 234)로 조금의 오차는 있지만 네더 요새를 바로 찾을 수 있었답니다. 오차는 오버월드나 네더월드 등의 세계에 ... ...
- [가상인터뷰] 세계에서 가장 작은 ‘로봇 게’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로봇 게와의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재구성했다.Q. 어떻게 이렇게 몸집이 작아요?제 몸 곳곳에는 열을 받으면 수축하면서 모양이 바뀌는 재료가 있어요. 바로 ‘형상기억합금’이죠. 레이저 빔으로 몸 전체 관절을 빠르게 가열하면 얇은 유리로 코팅된 제 몸은 금방 식어요. 이때 가열과 냉각이 ... ...
- [과학뉴스] 라이다로 찾아낸 남미 거대 도시 유적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것이다.연구팀은 약 20년 전 발견된 모조스 평원 인근에서 발견된 유적지를 조사했다. 이 곳은 초목이 빽빽하게 자라 그간 대규모 조사가 어려운 지역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헬리콥터와 항공기, 드론에 라이다를 장착해 공중에서 지표면의 디지털 모델링 연구를 진행했다. doi: 10.1038/s41586-022-04780 ...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서식지를 탐사할 땐 손님이 된 마음으로 다가가야 한다. 박쥐는 사람과 달리 스스로 사는 곳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제주도 용암동굴은 땅과 바다를 잇고 있다. 동굴의 변화가 바다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탐험가 벤 호튼은 “현장 탐사를 통해 실제로 생태계가 연결돼 있다는 것을 느낄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