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5화. 혜성에서 만난 뜻밖의 생명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저를 나무라고 하나요?”딱지는 어리둥절했지만, 만약 이 나무가 평생 혼자서 이곳에 있었다면 자신이 무엇인지 모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네. 나무가 맞아요. 저 아래 행성에 당신 같은 나무가 많이 살아요. 므티 족이라고 해요.”“아래가 뭐죠? 행성은 또 뭐죠? 므티 족이요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1화. 우리 학교를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2년 09호
- 2008년부터 2019년까지 수학과 전공으로 학사, 석사, 박사과정까지 무려 11년을 이런 좋은 곳에서 생활할 수 있었는데요. 이렇게 2년 반 만에 코로나19를 지나 다시 돌아와 보니 감회가 새롭기도 하고, 다시 와서 너무 반갑고 좋더라고요. 독자분들에게도 옥스퍼드대의 모습이 생생하게 전달되면 ... ...
-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어떨까. 당사자와 가족의 삶이 완전히 달라지는 것은 물론, 사회도 훨씬 살 만한 곳이 될 것이다. 로나 윙은 이렇듯 자폐인의 모습이 너무나 다양하고, 증상의 심한 정도도 모두 다르다는 점에 주목해 ‘자폐 연속선’이라는 개념을 창안했으며, 나중에 사람들에게 보다 친근한 이미지인 프리즘을 ... ...
- [특집] 황금책은 어디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보관하는 곳으로 들어서니, 모든 벽에 책이 한가득 차 있었어요. 책이 너무 많아서, 이중 어떤 것이 황금책인지 찾아내는 건 불가능한 것처럼 느껴졌지요. 열 가지 지식 동네, 십진분류법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책 분류법은 ‘듀이십진분류법(DDC)’이에요. 1876년 미국 도서관에서 일하던 ... ...
- [별별 우주 기네스] 가장 가까운 별과 가장 먼 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있으니까요. 제임스 웹 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보다 성능이 더 좋아서 훨씬 먼 곳에 있는 별도 관측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여러분이 그 별을 찾는 주인공이 될 수도 있겠지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최근 세계여행을 시작했어. 낯선 곳에서 생일이라니, 조금 외로운 감정도 들었는데 홀로그램으로 친구들이 축하해줬지 뭐야~? 그런데…, 너네 언제까지 이럴 거니? 과학뉴스 中 … 벽돌 모양 장치로 초대형 홀로그램 탄생! … (하략) … 다양한 화합물이 들어 있는 액체에 나노머신을 ... ...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떨어졌어요. 그래도 필즈상 수상자이신 히로나카 교수님의 추천서가 있으니까 어딘가 한 곳은 되겠지 했는데, 합격 이메일이 하나도 오지 않았어요. 워낙 대학교 때 학점이 나빠서 그랬던 것 같아요. 합격 발표를 기다리는 동안 자다가도 일어나서 이메일 창을 계속 새로고침 하고 계속 마음을 ... ...
- [과학뉴스] 화성에서 발견한 쓰레기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설명했다. 호일 조각이 발견된 곳은 퍼서비어런스가 착륙한 곳에서 2km 떨어진 곳이었다. NASA는 “착륙 과정에서 떨어진 것인지, 아니면 착륙 이후 바람에 날려 온 것인지는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인간이 화성에 남긴 잔해가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4월 18일에도 화성 탐사용 ... ...
- [논문탐독] 다양성과 혁신이 이끄는 도시의 진화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새로움, 놀람의 도가니가 돼야 한다고 했습니다.그의 주장 이후 도시는 더 이상 무질서한 곳이라고 여겨지지 않습니다. 도시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도시 계획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도시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방법모양과 크기가 다양하고, 서로 다른 사람들이 사는 도시가 가진 다양성은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지금의 제주도를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제주도에서는 주로 어두운 현무암만 보이지만, 이곳 서귀포시 천지동 해안에는 제주도에서 유일하게 서귀포층이 드러나 있어 직접 지층을 관찰할 수 있죠.서귀포층의 또 다른 특징은 물을 잘 흡수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그래서 제주도에 내린 비는 땅속으로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