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습"(으)로 총 2,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UNIST AI 컬링, ‘디지털 컬링 대회’ 우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16만 건을 컬링 AI에 입력했다. 이후 AI가 스스로 생성한 약 450만 투구 데이터를 통해 강화학습을 거쳤다. KR-DRL은 3월 8일 경기 이천시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훈련원 컬링센터에서 열린 ‘인간-로봇 컬링 대결’에서 활약한 AI 컬링 로봇 ‘컬리’에도 활용됐다 ... ...
- Part 3. 직접 들어본 요즘 사춘기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고등학교 1학년 욱형이가 세상과 다시 소통하는 시간이다. 아침 8시에 등교해 야간자율학습(야자)까지 마치면 저녁 10시가 된다. 학교에서 12시간을 넘게 지내지만, 하루 종일 빡빡한 일정에 친구들과 수다를 떨 여유도 없다. 자유시간 조차 허투루 보내기 아깝다. 대학수학능력시험까지 앞으로 약 95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속도로 노화하지만, 중년이 되면 개인별 편차가 매우 커진다는 뜻”이라며 “주로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부분, 에너지를 조절하는 부분, 뇌 세포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부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40대 소뇌 부피, 20대의 약 91%‘이거 좀 가져와봐’ ‘너 그거 했니?’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과학대회 수상을 위한 ‘꿀팁’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대회 참여 전략을 세운다면 좋은 성적을 거둘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자기주도적 학습의 사례로 삼아야요즘 교내 과학대회는 문제 풀이 위주의 경시대회와는 달리 학생의 사고력과 탐구력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대회에 맞춰 따라가는 학생이 아닌 자기 주도적으로 ...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얼굴움직임부호화시스템과는 다른 접근법이다. 현재 에버의 행복한 표정은 AI가 학습한 사람의 행복한 표정을 절반 정도 구현한 수준이다. 연구팀은 시선 처리도 최대한 사람에 가깝게 만드는 중이다. 사람이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의 눈을 바라보는 경우는 약 20%에 불과하며 대부분 입이나 목, 주변을 ...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성별이 부모 중 어느 쪽과 일치하는지 인식한다. 이때 성별과 함께 그 역할도 학습한다. 남자 아기는 아버지의 성향을, 여자 아기는 어머니의 성향을 따라간다. 그러다가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사춘기가 되면 생물학적으로 자신의 신체 성별을 확실히 인지한다. 사춘기에 경험하는 성 정체성에 대한 ... ...
- [에디터 노트] 굿바이,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태블릿 PC에서 원하는 알파벳에 커서를 옮겼고, 그가 평소 쓰는 단어와 문장을 미리 학습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알파벳 첫 자만 나와도 그가 하고 싶은 말을 알아냈다. 이 말은 음성 합성기를 통해 목소리로 바뀌었다. 그리고 미국식인지, 영국식인지 알 수 없는 특유의 억양을 가진 컴퓨터 음성은 ...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설명한다. 산업별로 학습곡선의 기울기는 다르며, 그 중 컴퓨터, 의약품, 정유산업의 학습곡선이 가장 가파르다고 말한다. 액면분할 발표 이후 삼성전자의 주가가 일시적으로 흔들리기는 했지만, 장기적인 전망이 꽤 밝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홍춘욱_hong8706@naver.com1993년 12월부터 ... ...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수재로 판단했다. 하지만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사춘기도 길어지는 상황에서 빠른 학습 능력을 계속 수재의 근거로 삼아야 할지 생각해볼 문제다. 게다가 청년의 기준 역시 점점 늘어나 35세, 심지어 40세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반면 유아기는 10세 무렵에 끝나버린다. 어쩌면 사춘기를 겪고 있는 1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않은 일반고 졸업생 사이의 차이가 사실상 없다. 이병호 학부장은 “교수들이 선행학습을 전제하지 않고 기초부터 차근차근 가르친다”고 말했다. 인재상 소통하며 협업하는 연구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가 원하는 인재상은 뭘까. 이병호학 부장은 “수학과 물리 분야의 기초가 튼튼한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