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6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나왔다
2015.01.08
것으로 현재 최고 효율이 11.9% 수준이다. 석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이 선점하고 있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최고 효율은 25.6% 수준이지만 이 효율을 달성하기까지 60년가량 걸렸다”면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5년 만에 효율 20%의 장벽을 넘은 만큼 5~10년 안에 상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미래형 초정밀 반도체 개발위한 이론적 기틀 닦았다
2015.01.05
통해 이론적으로 규명해냈다. 류 연구원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반도체 회로 속
실리콘
나노선에 고농도의 인을 섞은 경우에 대해 원자 수준에서 계산해 내고 그 구조를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류 연구원은 “안정적인 전기전도도를 지니는 불순물 반도체 전선 개발을 위해 공정과정에서 ... ...
불량
실리콘
웨이퍼가 나노분말로 환골탈태(換骨奪胎)
2014.12.17
개발했다. 정국채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박사팀은
실리콘
분말, 불량
실리콘
웨이퍼, 금속 조각 등 반도체나 태양전지를 제조할 때 나오는 부산물을 플라스마의 높은 열로 녹여 증발시켰다. 그리고 증발 물질을 다시 급속 냉각시켜 나노분말을 만들었다. 이 나노분말은 휴대전화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5cm 크기로 만들 수 있고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게르마늄이 입혀진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서 성장한 단결정 그래핀.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제공 ● 희토류 필요 없는 DCT모터 세계 최초 개발 LG이노텍은 세계 최초로 희토류를 쓰지 않는 차량용 듀얼클러치 변속기(DCT)용 ... ...
고효율 태양전지 수명 10년으로 늘렸다
2014.12.08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태양전지는
실리콘
등 광물질을 원료로 하는 무기태양전지와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제작한 플라스틱 형태의 유기태양전지로 나뉜다. 유기태양전지가 효율은 더 뛰어나지만 사용 수명이 수년 이내로 낮아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 ...
초고화질(UHD) 다음은 풀 초고화질(UHD)
2014.11.25
, 갈륨(Ga) 등의 금속 원소와 산소(O)로 이뤄진 물질이다. 이 물질을 이용하면 기존 다결정
실리콘
소재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뛰어넘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수 있지만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김용성 박사가 비정질 산화물 디스플레이 소재의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 ... ...
이젠 ‘탠덤 태양전지’ 시대
2014.11.24
하이브리드 다중접합(탠덤)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시중에 많이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는 단일 접합 방식이어서 이론적 한계효율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가 낮은 광자는 태양전지판에 흡수되지 못한 채 투과되고, 에너지가 높은 광자는 흡수되더라도 열에너지로 ... ...
흑린(黑燐), 차세대 트랜지스터 주인공 될까
2014.11.17
투명하면서도 휘어지는 성능을 가진 반도체가 필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기존
실리콘
소재를 대신해 차세대 반도체로 쓸 수 있는 소재를 찾는 데 성공했다. KIST 연구팀이 개발한 흑린 트랜지스터의 모습.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원국 박사와 송용원 박사 공동 연구팀은 흑린 ... ...
피부 감염 우려 줄인 신개념 부항기 나왔다
2014.11.12
일회용 부항컵을 쓰자니 값이 비싸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부항컵 내부에
실리콘
주름 캡을 씌우는 방식으로 환자의 피부와 부항컵 사이의 접촉을 차단하는 데 성공했다. 부항컵 입구에 주름 캡을 씌운 뒤 흡입기로 내부의 공기를 빼내면 주름 캡이 컵 안 쪽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피부와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그동안 나노 인쇄기술은 주형을 이용해 나노 구조물을 찍어내고, 찍어낸 나노 구조물을
실리콘
등 원하는 표면에 옮기는 식이었다. 하지만 나노 구조물의 폭이 수백 nm 이하로 얇아지면 주형에 나노 구조물이 들러붙어 제대로 인쇄가 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기존에 사용되던 재료보다 표면에너지가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