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65건 검색되었습니다.
LED 전구 다음은 ‘
실리콘
전구’
과학동아
l
2014.07.09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실리콘
의 형태를 달리하여 새로운 특성을 끌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새로운 광소자 개발의 가능성을 높인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 ...
[표지로 읽는 과학] 그래핀 차곡 차곡 쌓은 ‘이층 그래핀’
과학동아
l
2014.07.06
그래핀은 열 전도율이 구리 보다 높고, 전자 이동 속도는 반도체 재료인
실리콘
보다 빨라 기존 전자소자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물질로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꿈의 신소재’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래핀은 2010년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 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 ...
촉매제로 쓰이는 제올라이트의 ‘속사정’
과학동아
l
2014.06.23
원소의 분포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는 과학자들의 오랜 관심사였다. 연구진은
실리콘
과 알루미늄을 이용해 긴 바늘 모양의 제올라이트(NAT 구조)를 처음으로 합성하고, 여기에 기존 제올라이트의 뼈대 원소로 알려진 ‘갈륨’을 반응시켜 갈륨원자가 어떻게 움직이는 지를 관찰했다. 그 ... ...
속 빈 튜브에 햇빛을 가두다
과학동아
l
2014.06.19
최신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효율 비교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실리콘
나노구조.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짧은 나노막대(SiNR-1), 긴 나노막대(SiNR-2), 나노튜브(SiNT), 나노콘(SiNC) 구조의 전자현미경 사진 - 광주과학기술원(GIST) ... ...
방사성 세슘 다 잡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6
세슘을 제거하게 된다. - 서강대학교 제공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SGU-45는 바나듐과
실리콘
을 주원소로 하는 다공성 물질로 세슘의 농도가 낮을수록 세슘에 대한 흡착력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나트륨 같은 다른 이온들이 뒤섞여 있어도 세슘만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또 흡착 ... ...
그래핀 한 번에 코팅하는 법
과학동아
l
2014.06.10
교수 - 고려대 공과대학 제공 2차원 탄소결정구조인 그래핀은 전자 이동 속도가
실리콘
반도체보다 10배 이상 빠르고 다양한 전기적․열적 특징을 갖고 있어 ‘꿈의 소재로’로 불린다. 하지만 이 그래핀을 최근 각광 받는 웨어러블 기기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Si, 14번)도 필요하단다. 우리 몸에 약 20ppm(ppm은 100만 분의 1) 존재해 질량 기준으로 15위다.
실리콘
은 뼈 성장에 필수적인 원소로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원자번호 23번인 바나듐(V)으로 쥐와 닭을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 결과 결핍될 경우 성장 장애와 생식 장애로 이어진다. 또 인슐린 민감성에도 ... ...
태양전지, 네 안에 나선 있다
과학동아
l
2014.05.13
나선형 구조를 볼 수 있다. - POSTECH 제공 유기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값이 싸다. 하지만 유기태양전지는 얇은 박막을 이용해 제작하기 때문에 태양빛을 잘 흡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팀이 만든 유기태양전지는 ... ...
‘그래핀 나노리본’이 뚝딱?
과학동아
l
2014.04.27
데 성공했다. 이 공정은 간단하면서도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 10cm 크기의
실리콘
기판 위에 그래핀 나노리본 144개를 정렬해 트랜지스터 소자로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이 방식을 이용하면 투명하고 유연한 그래핀 나노리본을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길이로 만들 수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
과학동아
l
2014.04.23
투명한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금까지 메모리소자로 널리 쓰였던
실리콘
은 불투명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그래핀 산화물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내구성이 약할 뿐 아니라 소자 하나에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데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