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65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첨단 의료기기 PET와 MRI이 만나면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영상을 찍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강한 자기장 속에서도 PET 사용이 가능토록 해주는
실리콘
광증배센서(방사선 검출기에 들어오는 빛을 증폭)는 조규성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와 설우석 나노종합기술원 연구원이 공동 개발했다. 이 기술은 전체 시스템 가격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 ...
[정영훈의 미수다] 신재생에너지, 준비하는 만큼 돈 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0.23
산화물을 이용해 만드는 것으로, 입사각이나 온도가 변화해도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훨씬 덜 민감하여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SDI와 KAIST가 공동으로 건물 일체형 투명 태양전지를 개발․발표하였다. 기술 예상 실현 시기 1~2년 후. 2. 태양광으로 물을 분해하는 ... ...
태양광 발전소에 볕 든다
동아일보
l
2013.10.18
원료인 폴리
실리콘
품질을 높이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OCI 관계자는 “폴리
실리콘
의 순도를 높이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며 “미래 먹거리로 떠오른 태양광 발전 사업에는 주도적으로 나설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OCI는 미국 텍사스 주 샌안토니오에 400MW급 태양광 전력을 장기 공급하는 ... ...
미래를 바꾸는 '꿈의 신소재' 그래핀
동아사이언스
l
2013.10.09
빠르고, 열전도율도 구리보다 20배 높다. 이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그래핀을 ‘제2의
실리콘
’이라 부르며, 기존 전자소자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물질로 보고 있다. 많은 나라들이 그래핀의 상용화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 투자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2010년 노벨 물리학상도 ... ...
10월에 주목해야 할 엔지니어는 '바로 이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이달의 엔지니어상’ 10월 수상자로 선정했다. 양영석 소장은 과공정 알루미늄-
실리콘
합금 연속주조기술을 개발해 고기능성 알루미늄 자동차부품 국산화를 이끌었으며 국내외 특허 10건을 개발·상업화해 알루미늄산업 발전에 기여해 왔다. 박도현 연구원은 전선용 소재와 고기능성 전선 ... ...
인간,컴퓨터,자연... 과연 우리의 미래는?
동아사이언스
l
2013.10.06
속속 발표되고 있다. 유럽 연구진은 DNA를 대용량 저장장치로 활용했으며, 미국 연구진은
실리콘
대신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더 작고 더 빨리 정보를 처리하는 미래형 고성능 컴퓨터를 만드는 데 한걸음 다가선 것이다. 이렇게 점점 컴퓨터의 성능이 더 좋아지고 발전한다면 미래의 ... ...
새로운 컴퓨터 세계를 여는 DNA
동아사이언스
l
2013.10.04
동시에 지닌 DNA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트랜지스터를 만들 때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실리콘
기판과 유사하게 생긴 매우 작은 접시를 준비한 후 여기에 박테리아에서 추출한 DNA 가닥을 올렸다. 이를 구리염 용액에 담가 구리 이온이 DNA에 흡수되도록 했다. 여기에 열을 가하고 탄소 원자가 ... ...
지구를 넘어 화성에서 살 날 곧 다가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9
이어진 신소재다. 관 내부의 지름이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리콘
반도체의 집적도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세계 최초의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로 장식됐다. 미국 스탠포드대 ... ...
원하는 물질만 빨아먹는 나노 스펀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9.27
가진 맞춤형 필터를 만들어 오염수를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다”며 “불소 대신 금이나
실리콘
으로 처리하면 2차전지나 태양전지 같은 새로운 에너지분야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태양에너지 이용해 고효율 수소에너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분리해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진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리콘
원자에 4개의 벤젠고리가 붙은 테트라페닐실란을 도입한 새로운 이리듐 감광제를 만들었다. 테트라페닐실란은 주변물질로부터 이리듐 감광제를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이리듐 감광제가 물이나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