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65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두께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제작 기술이다. 기초기술로 널리 쓰이고 있지만 p-n 접합면의 두꺼운 두께 때문에 기존
실리콘
반도체의 소자 동작속도가 제한되고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종류의 2차원 반도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을 수직으로 쌓아 p-n 접합면의 두께를 기존 대비 10 ... ...
옷 위에도, 종이 위에도, 나노 구조물이 딱!
2014.08.19
활용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연구진은 나노 구조물의 틀을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실리콘
기판 위에서 폴리우레탄으로 나노 구조물의 틀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 틀을 떼어내 종이나 유리에 붙이고 그 안에 나노 구조물을 만들었다. 이 박사는 “섬유 위에 나노 구조물을 붙일 수 있게 된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생충이 숙주를 속이는 법
과학동아
l
2014.08.03
요동(fluctuation)을 표현한 것이다. 스티브 위버 미국 UC버클리 물리학과 박사팀은
실리콘
판 위에서 양자의 요동을 관찰한 결과, 여기에는 최적화된 방식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양자의 요동은 표지 그림에 나타난 것처럼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시간적으로도 연속적인 성질을 나타냈다. ... ...
연구논문 2개에 동시에 이름 올린 중앙대 교수
과학동아
l
2014.07.30
보고 된 센서 중 전류 증가가 가장 높았다. 손 박사는 “플라스틱 반도체가
실리콘
반도체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 셈”이라며 “휘어지는 전자기기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27일자에 실렸다. ●경상대 연구진, ... ...
빛을 전기로 바꾸는 나노결정
과학동아
l
2014.07.30
교수는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기존 태양전지의 소재인
실리콘
대신 3nm 크기의 나노결정을 활용하는 것이다. 실제로 정 교수팀은 이런 나노결정을 이용해 효율이 높은 태양전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나노결정을 이용한 가장 단순한 태양전지의 구조. - 한국연구재단 제공 ... ...
IBM 제치고, 샤프 따돌리고, ‘메이드 인 코리아’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14.07.25
시장을 점령하고 있는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 단가가 3분의 1로 낮다는 것이다.
실리콘
태양전지가 W(와트)당 0.6달러(약 617원) 정도인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W당 0.2달러(약 206원) 수준으로 가격이 떨어진다. 신문 찍어내듯 태양전지를 찍어낼 수 있어 대량 생산에도 유리하다. 최 ... ...
이런 게 ‘일석이조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4.07.16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유를 분석한 결과 RGO의 산소가
실리콘
반도체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때문에 전압이 1V를 넘어서면 저항도 같이 커져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전압이 ... ...
스마트폰 3년 써도 배터리는 처음처럼?
과학동아
l
2014.07.15
주로 쓰이고 있는 흑연 음극소재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점에 주목했다. 그간
실리콘
이나 게르마늄으로 음극소재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급격한 부피 변화 때문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 단점이 발견돼 실용화 되지 못했다. 연구팀은 게르마늄 입자 ... ...
17.9% 세계 최고 효율 태양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7.10
균일한 박막을 얻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태양전지는 발전효율이 17.9%에 달해
실리콘
태양전지(20%)와 비슷하면서도 제조단가는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양전지의 효율을 공인하는 미국 재생에너지연구소(NREL)에서 차세대 태양전지 분야에서 세계 최고 효율이라는 인정을 받기도 ... ...
3배 오래 가는 리튬이온전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7.09
대량으로 생산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오즈컨 교수는 “모래로 만든 음극은
실리콘
음극의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며 “모래는 값이 싸고 독성이 없으며 친환경적인 원료”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앞으로 해변 모래를 이용해 휴대전화용 리튬이온전지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