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분수로 나타내는 ‘박자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꼭 분수 같은 모습을 하고 있지요. 분모 자리에 들어가는 수는 ‘기준이 되는 음표’, 분자 자리에 들어가는 수는 ‘한 마디에 기준 음표가 몇 개 들어가는지’를 나타내요. 만약 4/4라고 적혀 있다면 ‘한 마디에 4분음표(♩) 4개만큼’의 박자가 연주돼야 해요. 6/8이라고 적혀 있다면 한 마디에 ... ...
- [어수티콘 사전] 분자, 분모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바꾸어 계산했을 때, 몫은 항상 1보다 작아요. ʻ가분수’는 분자가 분모보다 크거나 분자와 분모가 같은 분수이므로, 항상 1보다 크거나 1과 같지요. ʻ대분수’는 가분수를 자연수와 진분수를 합친 모양으로 바꾼 거예요. 그림을 보면 86과 126의 조각 개수가 똑같죠? 86에서 6을 떼어내어 자연수 1로 ... ...
- [찰칵!전시회] 공평하게 냠냠 나누면 더 맛있지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더 많이 먹으려고 싸운 적이 있다고요? 앞으로는 ‘단위분수’를 이용해 보세요. 단위분수는 분자가 1인 분수랍니다.2명이모였을땐 1/2씩, 4명이모였을땐 1/4씩....'1/모인 친구의 수' 만큼씩 사이좋게 나눠 먹으면 싸울 일이 없을거예요~!❋화보 이미지는 어린이수학동아 책에서 볼 수 ... ...
- [꿀꺽! 수학 한 입] 조각난 호루스의 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태양의 신 ‘호루스’는 전쟁의 신 ‘세트’와의 싸움에서 승리하며 고대 이집트의 왕이 된다. 그러나 세트가 마지막에 던진 창에 맞아 호루스의 눈 ... 기사를 보려면?Intro. 조각난 호루스의 눈!Part1. 마법의 힘으로 분수를 모아보자 Part2. 분자는 항상 1이다Part3. 단위분수로 이뤄진 호루스의 ... ...
- [꿀꺽! 수학 한 입] 마법의 힘으로 분수를 모아보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분수가 언제 처음 등장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지금으로부터 약 3700년 전부터 분수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돼. 가장 오래된 수학책으로 ... /3인 거야. 입 모양 그림이 지금의 분수에 있는 선분과 같은 역할을 한 거지. 그런데, 왜 ‘분자’를 나타내는 그림은 없었을까 ... ...
- [꿀꺽! 수학 한 입] 분자는 항상 1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고대 이집트인들은 ‘단위분수’를 사용했어. 단위분수는 1/2, 1/3 처럼 분자가 1인 분수를 말해. 그래서 이집트인들이 분수를 그림으로 나타낼 때 분자는 따로 그릴 필요가 없었던 거야. 이집트인들은 2/3, 5/6 같은 모든 분수를 단위분수의 덧셈으로 나타냈어. 이집트인들의 분수 계산법을 한번 볼까? ...
- [똥손 수학체험실] 분수로 만드는 바닷속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2의 분모와 분자에 각각 3을 곱한 것일 뿐, 두 수의 크기는 같아요. 이처럼 분수는 분모와 분자에 0이 아닌 수를 똑같이 곱해도 그 크기가 늘 같다는 특징이 있답니다 ... ...
- [꿀꺽! 수학 한 입] 단위분수로 이뤄진 호루스의 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모두 64가 되도록 분모와 분자에 각각 같은 수를 곱해. 분모가 모두 같아진 다음에는, 분자의 수끼리 더하면 끝이야.이집트인들은 부족한 1/64을 지혜의 신인 토트가 채워준다고 생각했거든. 토트가 마지막을 더해주면, 호루스의 눈은 완전한 1이 되는 거야! 어때, 분수 이야기 재미있지? 고대 중국의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토성 위성인 엔셀라두스의 갈라진 얼음 틈 사이로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유기 분자가 분출되는 것을 확인했죠. 최근에는 NASA에서 보이저 탐사선의 데이터를 재분석해 천왕성 위성인 우라노스의 내부에도 바다가 있을 거라는 연구를 발표했답니다. 용어 설명*열수구 : 심해저에서 뜨거운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빛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시간을 극한으로 단축하면 아주 빠르게 벌어지는 현상인 원자나 분자 내부에서 전자가 움직이는 모습을 포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앤 륄리에 스웨덴 룬드대 교수가 1987년 적외선 레이저를 불활성 기체에 투과시킬 때 발견한 현상부터 시작됐다. 불활성 기체 실험 결과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