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라 낮기
움푹한 곳
가라앉음
침하
d라이브러리
"
함몰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그러나 이후 탑 전체를 지탱하는 기단부 아래의 잡석(雜石)들이 무게를 견디지 못해
함몰
하면서 탑 곳곳에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잡석을 부실하게 채워 기단부가 불안전해졌기 때문이다.해체 보수 작업은 신중하게1995년 해체 복원한 경주 나원리 5층 석탑 역시 최근 기단부와 그 위의 석재 사이에 1 ... ...
20년 동안 은폐됐던 UFO 목격담 공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하지만 다음날 괴물체가 있던 풀밭에는 45cm 정도의 깊이에 2m 정도의 크기를 가진
함몰
부분이 세 군데 발견됐고, 이 부분에서 측정된 베타선과 감마선의 수치는 인근의 평균치보다 2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괴물체 출현 당시에는 공군 레이더에 교란현상이 잡혔다.렌들셤 파일에는 "영국의 ... ...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연구를 위한 관측소 1960~63년에 창설되었다 이 곳에는 산악지대에 자연적으로 생긴
함몰
지(陷沒地)를 이용하여 세계 최대인 지름 300m의 고정구면경(固定球面鏡 ; 전파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1799~1875 독일의 천문학자 1817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 입학, F W 베셀의 천문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2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남는다. 하지만 개구리소년의 두개골 구멍에서는 이런 특징이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함몰
부위도 오랜 시간이 흘러 자연히 파손된 것으로 추정됐다.유해 발굴 현장에서 발견된 탄두와 탄피에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감정 결과에 따르면 탄두와 탄피에서 혈액의 흔적인 혈흔이 검출되지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굳어져 일종의 각력암이 된 것을 말한다한 단층면을 따라 분지의 기반(基盤)지형이
함몰
(陷沒)하여 생긴 단층분지의 하나 즉, 한쪽은 급경사의 산지이고 반대쪽은 경동지괴(傾動地塊)의 뒷면에 의해 막혀 있는 분지를 말한다대개 단층으로 막혀 있는 쪽의 가장자리는 직선적이지만 그 반대쪽의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한 흔적마저 있어 북측의 부실 공사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함몰
부위에 대한 보수에 나서지 않아 또다른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7. 집중호우 때 정말 안전할까정부는 금강산댐 상류에 하루 최대 3백mm의 호우가 내릴 때를 상정해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정부 대책이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왼손으로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 인체두부는 구조상 뒤통수 부분이 얼굴 부분보다 더
함몰
돼 있다. 따라서 자신이 가진 휴대폰의 안테나가 우측 상단에 있을 경우, 오른손으로 사용할 때가 왼손으로 사용할 때보다 머리와 안테나와의 거리가 더 멀다. 안테나가 좌측상단에 있을 경우는 그 반대가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자기를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세상이 끝난 것과 마찬가지라는 뜻이지, 빅뱅 우주론의 대
함몰
(Big Crunch)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이렇게 평범하고 애절한 노래가 본의 아니게, 왜 천문학의 중요한 문제들을 다루게 됐을까.우리는 여기에서 기초과학의 본질을 깨닫게된다.‘ 별은왜빛날까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식별 가능)에는 표면 아래로부터
함몰
될 때 형성된 듯한 지형이 눈에 띈다. 놀랍게도
함몰
지형의 크기는 손바닥 정도다. 그리고 고도 1백20m 영상에서는 오른쪽 위부분과 왼쪽 아래부분의 지형을 비교해보면 둘 사이에 확연한 경계가 나타난다.한편 니어-슈메이커 탐사선에는 표면물질의 구성원소를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큰 크레이터는 5.5km나 되며, 오래된 크레이터의 퇴화로 생긴 10km의 말안장 모양의 거대한
함몰
지역도 있다. 크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둥글게 되는 경향이 있지만, 에로스에는 사각형에 가까운 특이한 모습의 크레이터도 보인다. 이런 모습을 보이는 이유로, 크레이터를 형성하게 된 충돌현상이 있기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