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라 낮기
움푹한 곳
가라앉음
침하
d라이브러리
"
함몰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주위에는 백조와 같은 다량의 방사상 물질이 분포한다. 이러한 사실은 크레이터 형성이
함몰
에 의해 생긴 것이 아님을 말해준다. 또한 수천 km나 떨어진 장소에 방출 파편에 의한 2차 크레이터가 형성되거나 하는 것은 방출파편이 달의 탈출 속도에 거의 가까운 속도로 방출돼 멀리까지 날아간 ... ...
별 진화론 대폭 수정 돼야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이런 과정이 수초간 계속되면서 서서히(?) 블랙홀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 수초간이
함몰
하는 별의 바깥층이 다시 튀어오를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한다. 결국 초신성폭발이 일어나면서 중성자별은 생겨나지 않고 블랙홀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 설명대로라면 사라진 중성자별의 미스터리가 풀릴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더이상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중력의 응축력을 견딜 수 없어 중심부가
함몰
하면서 외곽으로는 대폭발이 일어나며 중심부에서는 양성자가 전자를 흡수해 중성자로 변한다. 이 상황, 즉 초신성 폭발은 아주 짧은 시간에 일어나므로 중력파를 발생할 확률이 크다"고 밝혔다.블랙홀이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다량발생은 코아로 밀려든 물질을 다시 표면쪽으로 되받아치는 역할을 한다. 코아로
함몰
된 물질이 이미 딱딱해진 코아표면에 튕겨 다시 표면쪽으로 반사되어 나가는 것이다. 고층아파트가 붕괴되면서 1층과 지표면을 단단하게 다진후(코아지역이 중성자별로 변함) 그 충격으로 나머지 물질들이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아주 밀도가 큰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주변의 시공간은 깊게 구부러진다. 이렇게
함몰
된 시공간의 입구, 즉 구멍 주변 부위가 서로 닿게 될 정도로 수축하는 경우 우리는 이를 검은구멍(Blackhole)이라고 부른다.바로 앞에서 우리는 중력의 본질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언급이 있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암흑 물질이 어느 양보다 많으면 우주는 팽창을 멈춘 후 다시 수축해 대폭발의 반대인 '대
함몰
'(Big Crunch)을 맞이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온 우주가 검은구멍을 이루며 영원한 어둠 속으로 서서히 사라지게 될 것이다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굴 가장자리에 배출한다. 이 똥의 덩어리가 화산처럼 쌓이고 반대쪽 머리가 향한 구멍은
함몰
돼 들어가면서 일정량의 모래가 쏠려 내려가 먹이의 계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진다. 10회 정도 모래를 먹고 수분간 휴식한 다음 후진하여 굴 밖으로 똥을 배출하는 정확한 반복운동이 이루어진다. 썰물 때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다수 확보하고 이들의 해부학적 특징을 파악하게 됐다. 이들의 두개골은 이빨 모양이나
함몰
공의 숫자가 현생 파충류와 아주 유사한 반면, 엉치뼈 등뼈 또는 다리뼈의 구조는 판이하게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당시 파충류 화석 연구의 선구자였던 오웬(Owen)교수는 색다른 파충류인 이 거대한 ... ...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끝부분이 흰빛을 띠면 간경변 등 간질환을 일단 의심할 수 있다. 이때 손톱의 중간부분이
함몰
되고 손톱이 전체적으로 혼탁한 상태라면 간질환으로 판명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한편 심장질환 등 순환기계통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손톱이 짙은 색깔을 띠게 된다. 이는 손가락 주변을 흐르는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베네치아와 그 주변 공장지대에 새로운 공업용수를 공급, 1970년대에는 베네치아의
함몰
현상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게 됐다고 한다. 개펄로 흘러 들어가는 강물을 직접 추출, 거대한 수도관을 통해서 공장지대의 공업용수로 공급한 것이다. 그 덕분에 이제는 지하수를 뽑아내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