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발암성 단백질' 특성 밝혔다…암 성장 제어 신약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이를 통해 암 성장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KRAS는
돌연변이
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면 세포 증식을 촉진하고 암세포 성장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발암성 유전자다. 전체 암의 20% 이상이 KRAS와 연관을 보인다. 폐암은 40%, 대장암은 50%, 췌장암은 95%에서 KRAS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래 기술 거부하는 'GMO 완전 표시제'
2025.02.26
1차 농업혁명을 '사기극'이라고 평가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잡종·이종 교배와
돌연변이
를 이용하는 육종 기술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육종에 의한 품종 개량에도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유전자 재조합·편집과 같은 생명공학적 기술을 이용하는 본격적인 '유전자 변형 기술 ... ...
엄마 뱃속서 치료…'근육 위축' 태아 첫 치료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근위축증’을 갖고 있다. 운동 신경세포의 생존에 중요한 단백질인 ‘SMN1’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긴 상태다. SMN1 유전자와 유사한 SMN2 유전자가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제1형 척수성 근위축증이 있으면 SMN2 유전자 또한 1~2개밖에 없어 SMN1의 결핍을 채울 수 없다. 제1형 척수성 ... ...
피 몇 방울로 '폐암
돌연변이
'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찾아냈다. 특히 기존 NGS 기반 액체생검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웠던 폐암 1, 2기 환자의
돌연변이
도 정확하게 찾아냈다. 연구팀의 기술은 바이오벤처기업 ‘랩스피너’에 이전돼 병원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진단키트 형태로 개발될 예정이다. 조 교수는 “혈액 몇 방울로 암을 조기에 ... ...
개인맞춤형 암치료에 '한걸음 더'…신생 항원 암백신, 신장암 재발 억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겨냥하기 때문에 암세포의 면역 회피 능력이 무력화될 수 있다. 환자 자신에게서 발현된
돌연변이
단백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개인의 상태를 고려한 치료가 가능하다. 암백신은 이미 여러 제약사들이 연구·개발 중인 분야다. 미국 모더나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 기반 개인 맞춤형 암백신을 ... ...
구글도 투자한 美 유망 유전체 분석기업이 몰락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중단 명령을 받았다. 2017년에는 파킨슨병, 만성소화장애 등 10가지 질환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
를 확인하는 검사로 FDA 승인을 받았다. 23앤드미는 이 검사가 임상적 유용성이 있다고 밝혔으나 의료계는 검사의 신뢰성과 유용성에 여전히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안네케 루카센 영국 옥스퍼드대 ... ...
'아빠만 둘'인 생쥐, 처음으로 성체까지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DNA 서열에 염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프레임시프트
돌연변이
(frameshift mutation) 등 다양한 유전자 교정 기술을 동원했다. 수컷-수컷 유전자로 만든 세포에서 20개의 각인 유전자 영역을 교정한 결과 수컷 유전자만으로 이뤄진 새끼 쥐가 태어나고 처음으로 성체까지 ... ...
어머니 X염색체만 활성화된 암컷 쥐, 뇌 노화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뇌와 관련된 유전자가 풍부한 X염색체는 뇌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X염색체에
돌연변이
가 발생하면 지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X염색체가 하나만 존재하는 '터너 증후군'을 앓는 여성은 인지 기능이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 여성과 남성의 X염색체 개수가 서로 다른 만큼 연구자들은 ... ...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돌연변이
’ 환자에서의 오시머티닙 효과를 최초로 입증했으며, 이를 근거로 ‘드문 EGFR
돌연변이
’가 있는 비소세포폐암 치료 시 오시머티닙 사용이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에 등재되기도 했다. 현재 대한폐암학회 이사장을 맡고 있는 안 교수는 세계폐암연구협회의 공식 학회지인 ... ...
암세포 증식 82%까지 줄이는 소형 유전자 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암세포의 증식을 81.8%로 감소시키는 데 성공했다. 피부암 세포주의 ‘BRAF 유전자’의
돌연변이
를 표적으로 삼아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에서만 유전자 절단을 유도했다. 세포 증식을 69.7% 감소시켜 암 표적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연구를 이끈 김경미 교수는 “eCas12f1에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