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자신
주관
주체
본인
나
주동
뉴스
"
자아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알 수 있다. 그 결과 뇌의 엄격한 통제 시스템이 느슨해지며 감각의 확장과 함께
자아
가 해체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PNAS’ 제공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가서야 폴란은 책에서 사이키델릭의 부활 현장을 생생하게 그렸지만 LSD를 마약 목록에서 빼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실패에 웃고, 성공에 우는 이들의 공통점
2019.11.16
불행을 기뻐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타인과 비교해서 우월한 위치를 확인하는 식으로 내
자아
를 '받들어 모시는' 습관이 문제라면, 우월감을 재료로 삼지 않는 건강한 자존감의 원천을 확보하게 하면 어떨까? 이런 생각에 착안해서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자기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가치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발표를 앞둔 사람에게 도움될 조언 아홉가지
2019.11.09
머리를 너무 많이 쓰면 연료가 바닥난 자동차처럼 당분간 작동을 멈추기도 한다(
자아
고갈 현상). 사회성 또한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기능이므로 혈당이 낮은 상태에서 사람들은 사소한 일로도 화를 잘 내고 친절한 모습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는 발견이 있다. 이런 현상을 발견한 미네소타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명상이 장수에도 도움이 될까
2019.10.29
예상치 못한 상황이 일어났을 때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예열’ 상태라는 설명에서
자아
성찰이나 창의성을 지원하는 회로라는 설명까지 다양하다. 아무튼 우리가 ‘나’라는 정체성을 갖고 살아가는 건 DMN이 작동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흥미롭게도 우리가 어떤 일을 하면 해당 네크워크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쑥스러움이 많을수록 친구가 필요하다
2019.09.2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소중한 친구나 연인의 존재가
자아
관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뜻이다. 보통 자신감이 부족할수록 자존감도 떨어지고 우울한 생각을 많이 하는 편이지만, 똑같이 자신감이 부족해도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서는 이러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흉악범은 미디어의 관심을 즐긴다
2019.09.21
오남용 등의 기록이 없었다. 이들의 악행은 충동적이라기보다 오래 부풀어온 비대한
자아
와 그로인한 오랜 자격의식, 피해의식을 발판으로 철저히 명성을 추구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소수이긴 하지만 잔혹한 범죄에 환상을 갖고 이를 통해 명성을 떨치고자 하는 사람들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덕적
자아
상, '내로남불'의 심리학
2019.08.31
그것이 옳지 않은 행동이라면 자신은 그 때와는 다르며 많이 변했다고 여기기도 한다.
자아
를 꾸미는데 있어 사건의 물리적 순서나 시간 같은 것은 중요하지 않은 것이다. 이렇게 시공을 초월하여 나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정보를 재구성하는 탓에 악행은 많지만 스스로 악하다 여기는 사람은 별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에게만 초점을 맞추면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
2019.08.17
찾는 경향을 보인다. 실패의 원인을 내 안에서 찾는 등 실패를 ‘개인화’하고 ‘
자아
의 이슈’로 만드는 정도가 크다보니 실험실에서 한 별 의미 없는 과제에도 기분이 상하고 좌절을 느낀다. 잘 할 수도 못 할 수도 있는 별 의미 없는 과제요 못해도 거기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대해진
자아
는 자신을 위험에 빠뜨린다
2019.08.10
받아들이지 못하는
자아
또한 현실감 없이 부풀려진
자아
인 것이다. 인간만큼
자아
중독인 동물이 없다. 나 혼자서 자꾸 내가 좋거나 나쁘다고 생각해서 뭐하겠는가? 나를 포장하겠다는 욕심과 나에 대한 평가를 관두고 어차피 힘든 인생을 살고 있는 나에게 친절한 행동을 하나 더 하는 게 훨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
2019.07.13
자료 연구자들은 세 살 정도가 되면서 이타적인 행동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에 대해 ‘
자아
’의 형성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세 살이 되면 슬슬 나와 다른 타인의 존재를 의식하기 시작하고 타인의 입장이 나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아차리게 된다. 나와 다른 타인의 욕구를 이해하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