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죄책감"(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2019.10.27
- 분명 ‘지방은 무조건 나쁘다’라는 도시 전설은 잊어도 좋다. 지방을 먹을 때 느끼는 죄책감은 좀 줄여도 되겠다. 양질의 지방을 먹는다면, 탄수화물을 먹는 것보다는 훨씬 좋다. 다가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포화지방은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성을 낮춘다. 식욕의 진화 식료품에 표기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갑작스런 상실을 겪는 이들에게2019.10.19
- 오래 지속되는 편이다. 마음이 훨씬 더 복잡해서 슬픔 뿐 아니라 버려졌다는 느낌, 죄책감, 비난하기 같이 에너지 소모가 심한 감정과 사고 과정들이 더 크게 나타난다. 부정적 정서 상태가 더 격럴하다보니 다른 형태의 상실에 비해 오래 트라우마로 남을 확률이 더 높다. 갑작스러운 상실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이 일을 상습적으로 미루는 이유2019.10.12
- 좋을지 몰라도 계속해서 기분이 좋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번에도 미뤘다는 사실에 대한 죄책감과 그로인한 자기 반성이 이내 즐거움을 다 깎아 먹는다. 미루는 즐거움은 아주 잠깐이다. 조금 늦더라도 최대한 해보자는 담담한 마음으로 일을 할 수 있으면 좋을 거 같다. 참고자료 Sirois, F., & Pychyl,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투명인간'의 슬픔2019.09.14
- 외로움 등의 표현에서 나타나는 소속감 하락이 나타나고 스스로 바보가 된 것 같다거나, 죄책감이 느껴진다는 자존감 하락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 무기력, 상황을 통제할 수 없음, 좌절감 같은 통제감 상실과 함께 쓸모 없는 존재가 된 기분, 보이지 않는 투명인간이 된 기분 같은 존재론적 회의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 있게 된다. 사람을 사람 이하의 것으로 만드는 혐오 발언이 무서운 이유다. 대상을 아무 죄책감 없이 탄압하고 처단할 원동력이 되어 주기 때문. 대부분의 끔찍한 일들이 ‘XX충들은 막 대해도 돼’ 같은 작은 인식에서부터 시작된다. 혐오를 근절하기 위한 근본적인 인식 변화를 위해서는 우선 어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 알고보면 다른 사람들보다, 또는 너가 생각하는 것보다 괜찮다는 식의 이야기들 역시 죄책감 없는 악행의 확산에 기여한다. ④면책(Displacement of Responsibility) 네 번째는 책임을 면하는 것이다. 흰 가운을 입은 실험자가 시켰다고 해서 약 70%의 사람들이 다른 참가자를 전기고문 했다는 밀그램의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자신을 속이는 사람들2019.05.12
- 자신이 거짓을 저지른다는 사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합니다. 무의식으로 감추어야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리플리 증후군의 원인 리플리 증후군은 널리 인정받는 독립된 장애가 아닙니다. 또한, 정신의학적 원인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과대 망상의 원인에 ... ...
- [과학기자의 생생임신체험記] 생애 첫 임신, 화학적 유산으로 마무리 짓다동아사이언스 l2019.05.04
- 말과 목소리는 세상 다정다감했지만, 난 어느새 내가 뭘 잘못했는지를 생각하고 있었다. 죄책감이 꼬리를 물었다. 한 논문에서 이런 문구를 읽었다. 화학적 유산이 꼭 나쁜 건 아니라고. 오히려 불임이 아니라는 걸 확인했으니 다행인 일이라고. 시험관 아기 시술을 받는 여성을 추적 관찰한 결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해자에 동조하는 사람들 2019.03.30
- 성차별적인 사고방식, 상대방이 원치 않는 성적인 농담이나 성적 행위를 하는 것에 죄책감이 없고 강간 문화에 익숙한 정도에 대해 물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폭력은 ‘한 순간의 실수’이기보다 오래된 성차별적 의식과 잘못된 성관념, 강간 문화의 산물이다(Polaschek & Gannon, 2004). 예컨데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왜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일까2019.03.24
- 정도 수준에서는) 사랑이 깊으면 질투도 깊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죄책감은 조금 논란이 있는 감정입니다. 수치심과 관련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행동을 반추하고 미래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해주는 기능을 가집니다. 다른 사람의 평판을 내재화시켜서 스스로의 행동을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