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스페셜
"
인체
"(으)로 총 89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또 반응속도론 연구를 통해 새로운 알데히드 산화 반응 기작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인체
나 환경에 해로운 유기 물질을 분해하는 금속 촉매 개발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4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수정 기초교육학부 교수와 오상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물론 조직과 장기를 합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재료다. 재생의학은 치료할 수 없는
인체
부위를 새 것으로 바꿔 주거나 사람의 치유 능력을 활성화하여 기능을 되살리고자 한다. 부족한 장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자신의 줄기세포로 재생능력을 발전시키면 면역거부 현상을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아직 클러스터린이 직접적으로 인간의 뇌 속 염증 관련 기전을 저하시킬 수 있는지
인체
에서 확인된 바는 없으므로 후속 연구 결과를 기대하면 좋을 듯하다. 클러스터린 발견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운동에 의한 뇌기능 향상은 신체와 뇌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역으로 이용해 암을 치료하려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네이처’에는
인체
에 무해한 대장균의 한 균주(ECN)를 활용해 암 면역 세포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보인 연구 결과가 실렸다. 종양이 어느 정도 자라면 종양 미세환경의 영향이 커지며 면역세포가 암세포에 대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새옹지마...에이즈와 HIV감염, 항암제
2022.12.06
일으키는 원인임을 증명했다. 초기에는 다른 이름을 붙였지만 1986년부터 이 바이러스는
인체
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아래 HIV)라 불리게 되었다. 바이러스가 발견되기 전까지 에이즈는 불치의 병이었다. 이미 바이러스가 충분히 증식하여 사람의 몸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제조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의 경우 1985년에 병원체인
인체
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가 발견되었지만 효과적인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변이가 워낙 잘 발생하여 백신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백신제조법과 백신의 효과는 대상이 되는 병원성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은 신학에서 어떻게 독립했을까
2022.10.25
무균처리를 함으로써 수술시 가장 문제가 된 통증과 이차감염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인체
일부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 환자의 통증을 줄이기 위해 빨리 수술하는 것이 외과의사에게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었다. 마취제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술, 아편을 함유한 약초, 수술할 부위를 아주 차게 하는 ... ...
[탄소중립 최전선] ④국내 CCS 연구 기지개..."탄소저장량 5% 늘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과도한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배관이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탄소가
인체
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정도의 막대한 양이 폭발로 인해 방출되지는 않지만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고 자체가 불러오는 불안감을 억제해야 한다. CCS 모사실증테스트베드는 실제 모의실험에서 가해지는 최대압력 1 ... ...
노벨상의 계절이 돌아왔다…mRNA 백신 개발·여성과학자 주목받을까
2022.09.30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컴퓨터 계산을 통해 유전자 가위가
인체
의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예상할 수 있었다. ●여성 수상자 비율 3%…여성 과학자 활약상도 주목 2015년 브레이크스루상을 받을 당시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왼쪽)과 ... ...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후 자석으로 꺼내 몸 밖으로 내보낼 수 있다. 적혈구나 백혈구 표면에는 병원체를 붙잡아
인체
를 보호하는 특성이 있는데, 이를 이용해 기능성 자성나노입자를 만든 것이다. 이 치료법은 어떤 환자나 병원체에도 적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고 범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제내성균과 사람의 분변에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