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38건 검색되었습니다.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07.05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필자소개 허재원.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부교수로서 영장류학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대학교 학부생 시절 일본원숭이가 눈싸움 하는 동영상을 보고 너무 신기해서 원숭이를 연구하는 ... ...
20년 전 오늘, 복제 양 ‘돌리’ 탄생
2016.07.04
태어날 확률은 35% 정도지만, 복제 소는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10% 수준이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에서 탄생시킨 형질전환 복제 미니돼지. - 오창=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인공장기 등 의료용 연구 활발 이런 한계로 복제 동물 연구의 목적 역시 점차 변해갔다. 돌리를 만든 ... ...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07.04
강하게 나는 걸까. 이유는 비와 관련이 있다. 정영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
공학
과 연구원은 빗방울이 지표면에 닿는 순간 에어로졸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doi: 10.1038/ncomms7083). 에어로졸은 기체 속에 고체 혹은 액체의 작은 방울이 분산돼 있는 것으로 먼지나 안개도 에어로졸의 ... ...
수도권 방어 가능할까…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모든 것
2016.07.03
대부분은 상당 부분 방어가 가능할 걸로 해석하고 있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항공우주기계
공학
부 교수팀은 국내 최초로 사드의 성능에 대해 정량적적으로 분석했다. 장 교수팀은 “한반도는 종심거리가 짧아 요격 가능고도가 제한적이지만 상당부분 방어가 가능하다”며 “2대 정도의 포대를 ... ...
지구에서 가장 뜨거운 바다 ‘웜풀’ 꾸준히 팽창… 태풍, 집중호우 강해져
2016.07.02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또 다른 증거가 나온 셈이다. 민승기 포항공대 환경
공학
부 교수(사진)팀은 60년 전에 비해 웜풀은 32% 정도 커지고 평균 0.3도 뜨거워졌으며,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온실가스가 그 원인이라고 2일 밝혔다. 해수면 온도가 28도 이상인 웜풀 주변엔 엄청난 ... ...
따뜻하면 붙고 차가우면 떨어지는 ‘스마트 접착 패드’
2016.07.01
떨어지는 ‘스마트 접착 패드’가 개발됐다. 고현협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
공학
부 교수팀은 문어의 빨판에서 힌트를 얻어 외부 온도에 따라 붙었다 떨어지는 접착 패드를 제작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문어는 빨판 속 근육으로 빨판의 두께를 조절해 표면에 달라붙는다. 빨판 ... ...
[과학동아 7월호] “지리산이 설악산보다 산사태에 취약”
2016.07.01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지질
공학
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지질
공학
’의 지난달 30일자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2014년부터 전국의 산지 9곳에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12개를 설치하고 비가 올 때와 산사태가 일어났을 때 나타나는 지질 특성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 3년 ... ...
고성능 그래픽프로세서(GPU)를 위한 3대 기술 개발
2016.06.30
GPU는 그래픽을 처리하는 장치로 고화질 그래픽은 물론 사물 인식, 자율 주행, 금융
공학
등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계산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노원우 연세대 교수팀이 제안한 새로운 구조의 GPU. 가상의 비활성 스레드를 만들어 총 실행 스레드 개수를 늘려 하드웨어 가용성을 ... ...
“개도국이 필요한 자료 볼 수 있는 온라인 책장 만들었죠”
과학동아
l
2016.06.29
워크숍’에서 네팔 카트만두 의과학대 비라즈 카마차랴 박사의 말에 이정동 서울대 산업
공학
과 교수가 이렇게 답했다. 한-UNDP 협력 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와 UNDP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개발도상국 역량개발 프로그램이다. 각 나라의 교육·과학·기술·ICT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 그 ... ...
100배 더 빠른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 기술 나왔다
2016.06.29
자동차 상용화에 도움이 될 걸로 보인다. 최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
공학
전공 교수(사진)팀은 기존 자동차용 데이터 연결 기술인 캔(CAN) 방식과 호환이 가능하면서도 속도가 빠른 ‘터보 캔(Turbo-CAN)’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최 교수팀은 기존에 쓰지 않던 주파수 ... ...
이전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