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38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 위에 배터리를 인쇄한다고?
2016.06.29
온도감지 컵.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이상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
공학
부 교수팀은 얇은 종이 위에 전기회로를 인쇄해 전지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일반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해 문서를 출력하듯 종이 위에 인쇄할 수 있어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차세대 ... ...
수은 90% 제거에 재활용까지 되는 흡착제 개발
2016.06.28
함유된 수은을 90% 이상 걸러주는 흡착제가 개발됐다. 윤명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
공학
부 교수팀은 27일 “높은 효율로 수은을 제거하면서 재활용도 가능한 흡착제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흡착제는 나노미터~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하면서도 다양한 크기의 ... ...
술에 비친 그림자만 보면 알코올 도수 안다?
2016.06.28
도수를 직접 맛보지 않고도 알아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동성 포스텍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은 비싼 광학장비 없이 액체 그림자를 이용해 액체 속에 포함된 용질의 양을 알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투명한 사각기둥 속에 원통형 저장 공간을 만들어 액체를 채운 뒤 ... ...
주기율표 113번 ‘니호늄’ 발견한 日 가속기 현장 가보니
2016.06.24
역시 RI빔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라온의 출력이 RIBF보다 높은 만큼 정밀
공학
, 항공우주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KAIST ‘미생물 공장’, 올해의 떠오르는 10대 기술에 선정
2016.06.24
떠오르는 기술 10개를 선정해 발표했다. ‘미생물 공장’으로 대변되는 시스템대사
공학
은 지금까지 석유를 이용해 만들던 연료나 화학물질 등을 미생물을 이용해 친환경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실제로 이 교수팀은 대장균을 이용해 의료용 고분자 물질인 ‘폴리락테이트-co ... ...
무인자동차의 딜레마, 탑승자냐 보행자냐 그것이 문제
2016.06.24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라고 말했다. 무인자동차 전문가인 이경수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는 “현재는 무인자동차가 자동차 전용 도로에 한해 상용화되는 단계인 만큼 보행자와 관련된 윤리 문제가 당장은 시급하지 않다”면서도 “공리주의를 전제로 하는 도덕적 알고리즘과 규약 등이 ... ...
中에서 제일 잘 나가는 ‘스타 과학자’ 10인
2016.06.24
펼치고 있다. 가오차이샤 중국과학원 유전학및발달생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유전
공학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유전자 가위의 최신 버전인 ‘크리스퍼 Cas9’을 이용해 쌀과 밀 등 작물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주목받았다. 푸차오메이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및고인류연구소 ... ...
암유발 단백질 분해하는 신개념 대장암 치료제 개발
2016.06.22
대표 발암인자를 동시에 분해해 암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했다. 최강열 연세대 생명
공학
과 교수(아래 사진)팀은 대장암을 유발하는 대표 인자를 분해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대장암 치료제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대장암은 특정 신호전달체계 이상으로 발생하는데 ... ...
표준硏 신임 원장에 권동일 서울대 교수
2016.06.22
22일 밝혔다. 권 신임 원장은 서울대 금속
공학
과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에서 재료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정책보좌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자문위원, 한국법과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임기는 23일부터 3년간이다. ... ...
연필에 돌돌 말릴 정도로 얇은 태양전지 보셨나요
2016.06.21
얇고 유연한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종호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계
공학
부 교수팀은 머리카락보다 얇은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그 연구결과를 물리학 분야 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Applied Physics Letters)’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태양전지의 두께는 ... ...
이전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