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명복을 빕니다] 김기형 초대 과학기술처 장관 별세
2016.06.14
출신인 고인은 1949년 서울대 공대 화공과를 졸업한 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장관 시절 ‘과학 하는 나라가 되자’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과학기술 진흥 정책을 주도했다. 특히 해외 영재 과학자를 영입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설립하기도 했다. 제9대 ... ...
차세대 ‘인공와우’ 원천기술 개발
2016.06.13
귀 속에 이식하는 인공 달팽이관이다. 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
공학
전공 교수팀은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이용한 ‘인공기저막’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진은 폴리아미드와 알루미늄 필름을 덧대 새로운 필름을 개발했다. 이 필름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
2016.06.13
윤석구 고려대 기계
공학
부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한 안성필 연구원. - 고려대 기계
공학
부 제공 8배까지 쭉 늘려도 끄떡없이 전기가 흐르는 유연한 투명전극이 개발됐다. 윤 ... 하기 때문에 빛을 투과시킨다(왼쪽). 이 투명전극을 이용해 불을 밝힌 모습. - 고려대 기계
공학
부 ... ...
박스 오리면 ‘레고’ 변신…국제 디자인대회 최우수상 수상
2016.06.12
디자인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제임스 셀프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 및 인간
공학
부 교수팀은 ‘2016 코어77 디자인 어워즈’에 출품한 ‘토이 박스(Toy Box)’가 ‘오픈 디자인’ 학생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포장’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디자인상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코어77 디자인 ... ...
韓 과학자가 에티오피아 과학인재 키운다
2016.06.08
연구를 담당한다. 학부생과 석, 박사 학생 1만 명이 재학 중이다. 이 교수는 서울대 항공
공학
과를 졸업한 뒤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항공우주학회장,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장, 미국항공우주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임기는 8월 1일부터 2년이지만 최대 5년까지 연임할 수 있다 ... ...
옷? OK~ 돌멩이? OK~ 어디에도 붙는 만능 전자소자
2016.06.08
돌멩이 위에도 부착할 수 있는 전자소자를 개발했다. 고흥조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
공학
부 교수팀은 인공섬모를 이용해 접착력을 높여 불규칙한 표면에도 단단히 붙일 수 있는 전자섬유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섬모란 매우 가느다란 털을 가리킨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각광 ... ...
新 유전자 가위로 돌연변이 쥐 생산 첫 성공
2016.06.07
가위는 특정 효소를 이용해 유전자를 임의로 교정하는 기술을 뜻한다. 이 기술은 유전
공학
혁명을 일으키면서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동물실험을 넘어 의학, 농업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실례로 영국 로슬린 연구소 연구진은 유전자 가위 기술로 바이러스성 질환에 강한 돼지를 ... ...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 동물?
과학동아
l
2016.06.04
전쟁을 벌이는 우리 인간에게도 훌륭한 귀감이 된다. ※ 필자소개 허재원.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부교수로서 영장류학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대학교 학부생 시절 일본원숭이가 눈싸움 하는 동영상을 보고 너무 신기해서 원숭이를 연구하는 ... ...
[토요판 커버스토리]미세먼지 불안한데… 궁금증 Q&A
동아일보
l
2016.06.04
안 쓰면 그만이지만 미세먼지는 사방을 떠다니기 때문이다. 김신도(서울시립대 환경
공학
부) 임영욱(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허양임 교수(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의 조언을 토대로 궁금증을 풀어봤다. Q. 하늘이 뿌연 날 미세먼지가 더 많은 건가. A. 입자 지름이 2.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 ...
유전
공학
인간 만드는 세상 올까… 유전자 ‘쓰기’ 연구 출범
2016.06.03
사이언스 3일자에 실린 기고문 - 사이언스 제공 해외 과학자들이 인간의 유전체(게놈)를 인간에게서 분리하는 것이 아닌 화학적으로 새롭게 합성하는 ‘인간 게놈’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을 공식 발표했다. 제프 뵈커 미국 뉴욕 랑곤 의료센터 교수를 주축으로 하는 과학자 25명은 ‘사이 ... ...
이전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