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07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문제는 심각하게 됐다. 최근의 예로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전력난이 있었다.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전력 소모의 18% 이상을 차지하는 조명을 LED로 교체하는 것이다. 백색 LED는 적색·녹색·청색 LED를 조합하거나, 청색이나 자외선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07
디스토피아로 만들어 버렸다.스파이더맨의 공간적 배경은 세계 최대의 도시인 뉴욕이다.
미국
문화의 중심지이며 세계금융과 무역의 중심지, 자본주의의 상징 등으로 불리는 뉴욕은 거대한 덩치만큼이나 어두운 구석을 갖고 있는 도시다. 할렘가에는 1백만 이상의 빈민들이 모여 살고 있으며 엉키고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07
캐릭터를 기억하고 성장시킬 수 있는 ‘기억할 수 있는’게임기가 탄생한 것이다.● ●
미국
과 일본에 퍼지기 시작한 가전 신제품 AV 하드디스크 레코더는 기억이란 집착과 무관하게 망각되는 것이라는 기억의 본질을 파고든다. 기억이란 기록이라는 편린으로 잠시 내보내는 일로는 어찌할 수 없는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07
빈혈이 된다. 최근 피를 뽑지 않고 빈혈을 측정할 수 있는 병원용 장비의 시제품이
미국
에서 선보였고, 필자가 소속된 기관에서도 개인용으로 쓸 수 있는 소형기기를 개발했다.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를 인구의 3%로 추정하고 있다. 해마다 그 수가 늘어나고 있는데, 젊은층은 물론 심지어는 ... ...
사랑의 노래로 구애하는 고래
과학동아
l
200207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웹사이트에 6월 19일 보도됐다. 이번 연구의 주인공은
미국
캘리포니아대의 해양 생물학자인 도날드 크롤과 산타 크루즈를 비롯한 동료들.연구팀에 따르면 수컷 긴수염고래는 깊은 선율이 흐르는 사랑의 노래를 불러 암컷 수염고래에게 구애의 신호를 보낸다. ... ...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
과학동아
l
200207
한국 과학자 2명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미국
하버드대 박홍근 교수와 코넬대 박사과정의 박지웅씨는 각각 금속 분자와 금속 원자로 이뤄진 ‘나노 트랜지스터’를 만들어 영국의 과학전문지인 ‘네이처’ 6월 13일자에 표지논문으로 동시에 발표했다.박지웅씨가 소속된 ... ...
인간 배설물 때문에 멸종하는 산호?
과학동아
l
200207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지난 10년 동안 카리브해에서만 90% 이상이 사라졌다. 이 때문에
미국
정부는 1999년 멸종위기 종으로 선포해 보호하고 있다.카리브해에서 엘크혼 산호가 급감한 이유는 백두(white pox)라는 병 때문이다. 백두는 산호의 표면 군데군데에 하얀 점 형태로 퍼지는 병이다. 섬유층을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07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해 상당한 예산을 지원중이다. 올해 나노기술에 배정된 정부 예산은
미국
과 일본의 경우 약 8천억원이고, 우리나라의 경우 이 액수의 1/4인 2천여억원이다.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의 예산 배정은 선진국의 1/10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가 나노기술에 집중투자하고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07
인류의 4대 발명품 중 하나다. 이 인쇄기술이 나노세계에 처음으로 도입된 것은 1993년
미국
의 화학자 쿠메르와 화이트사이즈에 의해서다. 두 연구자는 알카네시올(alkanethiol)이라는 성분의 잉크를 금으로 코팅된 표면에 묻혔을 때 단분자층을 형성한다는 점을 발견했다.구체적으로 나노잉크 공정을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07
징크스는 왜 생기는 것일까.징크스와 비슷한 것 중에 ‘머피의 법칙’이 있다. 1940년대
미국
의 한 공군기지에서 기술자의 실수로 중요한 실험이 실패하자 머피 대위가 남겼다는 “잘 되거나 잘못될 수 있는 일은 반드시 잘못된다”는 명언이 바로 머피의 법칙이다. 내가 선 줄은 항상 다른 사람이 선 ... ...
이전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