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06
인류가 당면할 식량수급과 환경보존의 열쇠를 제공한다고 예측하고 있다. 이 목적으로
미국
을 위시한 많은 나라들이 유전체학을 포함한 GM 작물 육성 연구를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최초 상품화 GM 작물 연화지연 토마토그 결과, GM 작물이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개발, ... ...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06
수 있기 때문에 게놈 해독 정보에 대한 일반 공개를 거부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미국
의 셀레라 지노믹스도 지난해 자사 웹사이트에만 인간 게놈지도를 볼 수 있게 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과학자들은 국제적인 과학학술지인 사이언스가 지난해 셀레라의 논문을 게재한데 이어 신젠타의 논문도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06
공식발표를 하게 된 직접적 계기는 한장의 인공위성 사진 때문이다. 지난 4월 24일 촬영된
미국
아이코노스 위성사진에 금강산댐 정상부에 폭 20m, 깊이 15m 정도의 함몰부분이 발견됐다. 이에 건설교통부는 금강산댐 붕괴에 따른 여러가지 대책을 발표했다. 핵심은 우리쪽 대응댐인 평화의댐과 ... ...
대우받는 기술자로 남기 위한 청색 혁명
과학동아
l
200206
그는 프로야구 선수처럼 프리 에이전트를 선언,
미국
UC산타바바라대 교수로 취임하며
미국
경쟁사의 연구원직을 수락한다. 급기야 20년간 몸담았던 회사를 고소하고 또 고소 당하는 전사로 변신하게 된다. ‘이루어낸 일에 대해 대우받는 기술자’로 남기 위한 혁명을 홀로 다시 시작한 것이다.● ● ... ...
작은 세포의 미니 생쥐 탄생
과학동아
l
200206
크기가 보통 세포의 2/3 밖에 안되는 미니 생쥐가 탄생했다.
미국
찰스턴에 있는 하버드의대의 제프리 세틀먼 박사 연구팀은 ‘Rho-GAP’이라는 단백질 유전자를 제거시키면 세포의 수가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세포의 크기가 줄어들어 정상 세포에 비해 2/3 밖에 안되는 작은 생쥐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 ... ...
빅뱅은 여러번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206
빅 크런치(Big Crunch)라는 소멸과정이 영원히 반복된다는 얘기다.이번 연구를 이끈
미국
프린스턴대의 폴 슈타인하르트 교수와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닐 투록 교수는 끈이론에 의존하는 수학적 방법으로 새로운 우주모형을 만들었다. 이 순환우주모형에 따르면 어느 순간에 두개의 막이 존재하는데, ... ...
찰랑거리는 비너스의 머리칼
과학동아
l
200206
압력 차이 때문에 생기는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내는 바람은 아니지만.지난 5월 9일
미국
의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에서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의 영상을 보면 우주에서 부는 바람이 뺨에 느껴진다. 마치 보티첼리의 유명작품 ‘비너스의 탄생’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머리칼이 찰랑거리는 모습을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06
기관총에 추풍낙엽처럼 쓰러지는 엑스트라들과 헬기와 충돌해 부서지는 건물의 파편이
미국
식 액션 스팩타클을 지향하는 우리 관객들의 입맛에 맞았던 것일까. 모르겠다. 나는 영화 평론가가 아니니까.더 젊고 강해지고픈 인간의 욕망필자의 직업 탓인지 매트릭스를 돌려보는 내내 온라인 게임을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06
시기의 중복 등을 감안한다면 비의도적 악영향은 거의 없다고(negligible) 주장한다.
미국
환경청(EPA)은 이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소 유전자가 삽입된 GM 옥수수 재배에 의해서 제왕나비의 생육이 저해되는 것은 아니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생명과학자들은 여러 연구와 방법을 통해 GM 작물의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6
진학하는 것이다. 물리∙수학적 기반을 먼저 쌓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의 경우 다양한 분야의 기반으로부터 생물물리 분야로 진출하는 학생들 중 50%가 미리 물리학을 전공한다.고교수는 이와는 반대의 길을 걷고 있는 셈이다. 그는“현재 자신이 걷고 있는 길이 쉽지 않으며, ... ...
이전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