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에어로켓 대회, 필수비법을 전수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다시 정상적인 자세로 되돌려놓는 거죠. 에어로켓이 나는 모습이 영 불안하다면, 날개의 위치, 크기, 각도를 변경해 가며 최적의 형태를 찾아보세요! 비법 두 번째 멀리 날리고 싶다면, 발사각은 45° 에어로켓 대회 목표가 ‘멀리 날리기’인 분들 집중해주세요. ‘꿀팁’ 나갑니다! ... ...
- [매스미디어] 하나의 세계, 두개의 미래 시지프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충돌 지점으로부터 약 3km 떨어진 지점에 떨어졌다고 추측할 수 있다. 실제 형이 떨어진 위치는 어딜까? 경도 127.16°, 위도 36.987° 지점을 구글 지도에서 검색하면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승두리 680-1번지가 나온다. 비행기는 인천국제공항을 향해 가고 있었기 때문에 진행 방향으로 3km 떨어진 곳을 ...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명태의 경우 서식지의 남방 한계선이 한반도에 걸쳐있기 때문에 개체군의 분포 위치에 따라 어획량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며 “남획 등 다양한 요인이 어획량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다. 윤 연구사는 “아열대성 어류들이 최근 한반도 해역에서 발견되는 사례 역시 기후변화 외에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틈틈이 다양한 식물을 관찰했다. 소설 속의 유해 잡초인 모스나바는 덩굴식물로 낮은 위치에서 무성하게 퍼진다. 김 작가는 “모스나바를 구상하기 위해 거리에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보면 사진을 찍고, 식물 앱으로 어떤 식물인지 바로 검색했다”고 답했다. 김 작가는 “소설의 선공개 버전을 ... ...
- 수학자에게 물었다! 엉덩이는 한 개인가, 두 개인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오른쪽 그림에 있는 네 개의 입체도형은 모두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각각 모서리의 위치가 다르고 모서리로 나뉘는 면들의 모양도 다르기 때문이죠. 하지만 위상수학에서는 네 개의 도형 모두 같은 도형입니다. 눈에 보이는 기준과는 다르게, 도형을 이루는 면을 늘이고 줄여서 같은 도형으로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나옵니다. 이때 지구에서 바라본 태양의 시직경은 약 0.5°이기 때문에, 해가 떠오르는 위치에 독도를 맞춘다면 해가 독도를 품은 일출 사진을 찍을 수 있을 거라 예상했습니다. 그리고 떠오를 때를 정확히 포착해 예상 그림과 같은 모습의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습니다. 권 작가님은 “예술적 감각만 ... ...
- [게임 디자인 씽킹]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게임의 가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조합에 따라 말이 이동할 칸수가 달라집니다. 말이 특수한 문양이 그려진 사각형에 위치할 때마다 플레이어는 각기 다른 지시사항을 수행해야 합니다. 자신의 말들이 보드판을 통과해 먼저 출구로 빠져나오게 하는 사람이 이깁니다.이집트인들은 환생하기 위해서는 사후세계에 있는 여러 관문을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하지 않았다면 세계는 턱없이 평화로웠을 테니까. 사진이 연령대에 따라 이목구비의 위치, 피부의 탄력도, 골격으로 나뉘는 데이터 세계에서 죽은 자와 산 자가 무슨 차이 있으랴. 나는 납골당 밖으로 나와 커피 하나를 뽑아 벌컥벌컥 마신 후 캔을 쓰레기통에 집어넣었다. 할머니의 영정사진만 ... ...
- [수학뉴스] 한반도 해양쓰레기는 북태평양 환류대로 간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해양쓰레기의 대부분은 해류의 흐름에 따라 태평양(2곳)과 대서양(2곳), 인도양(1곳) 등에 위치한 5대 환류대의 중심부로 흘러갑니다. 각 환류대의 중심이 쓰레기 더미로 불리는 이유입니다.최근 필립 마이런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대기과학부 교수팀은 위성데이터를 반영한 전이경로이론(TPT)을 이용해 ... ...
-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그다음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해 θ가 270°일 때는 -1이 되죠. 그리고 360°가 되면 0°일 때의 위치로 돌아오므로 사인함수는 360°를 주기로 반복되는 주기함수입니다. ② 코사인함수( x=cosθ ) 마찬가지로 반지름의 길이가 1이면 코사인함수는 θ의 변화에 따른 점 P의 x값을 의미하고 x=cosθ로 나타낼 수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