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성
젊음
생기
뉴스
"
신선함
"(으)로 총 94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브리핑] 미래창조과학부 外
2014.11.27
■[인사]미래창조과학부 △국립중앙과학관장 김주한 △통신정책국장 조규조 △전파정책국장 전성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는 27일 경기 성남시 (주)오리엔트바이오 본사에서 (주)오리엔트바이오와 상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주)오리엔 ... ...
항생제도 안 듣는 헬리코박터균, 나노입자로 잡는다
2014.11.26
위궤양과 위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세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항생제 내성이 생겨 기존 항생제로는 치료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나노입자가 개발됐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연 ... ...
초고화질(UHD) 다음은 풀 초고화질(UHD)
2014.11.25
초고화질(UHD)을 뛰어넘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김용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팀은 비정질 산화물 소재로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비정질 산화물은 인듐(In), 아연(Zn), 갈륨(Ga) 등의 금속 원소와 산소(O)로 이뤄진 물질이다. 이 물 ... ...
말과 코뿔소의 본고장은 인도였다
2014.11.24
초원을 달리는 말과 육중한 코뿔소는 같은 말 목(Perissodactyla)에 속하는 친척이다. 곰 같이 생긴 동물 ‘테이퍼’도 여기 속한다. 생김새는 모두 다르지만 이들은 발가락 수가 홀수라는 공통점이 있다. 최근 말 목 동물의 본고장은 인도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케네스 로즈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 ... ...
초기 배아에서 마이크로RNA 조절 현상 최초 규명
2014.11.23
김빛내리 IBS 단장. - IBS 제공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팀이 마이크로RNA가 초기 배아에서 조절되는 기전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마이크로RNA는 20개 정도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연결된 짧은 RNA 조각으로, 특정 단백질이 과도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단백질의 발현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네이처 제공 학창시절 수학교과서 속 집합 단원에서 볼 수 있는 벤다이어그램. 이 벤다이어그램이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표지 속 벤다이어그램에서 두 집합은 사람의 머리를 형상화했다. 또 두 집합이 겹치는 부분인 교집합은 쥐로 나타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집합은 쥐라 ... ...
플라스틱 기판에 무기물 반도체 옮기기 성공
2014.11.23
플라스틱 기판에 전사한 무기소재 메모리 소자.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무기물로 만든 고성능 반도체를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 위에 옮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무기물은 유기물보다 전기적 성능은 뛰어나지만 얇고 휘어지는 특성이 없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메모리 등을 만들기에는 한 ... ...
과학벨트 대장정 본격 스타트
2014.11.21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조성사업이 본격적인 첫발을 내딛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대전광역시와 함께 21일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잔디 광장에서 ‘과학벨트 희망비전 선포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과학벨트 사업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기초과학 연구의 토양이 될 연구 ... ...
당뇨병 조절 열쇠는 췌도 혈관
2014.11.19
남홍길 IBS 단장. - IBS 제공 노화가 진행된 췌도의 기능이 떨어지는 원인이 밝혀졌다. 췌도는 이자 안에서 인슐린을 분비해 혈당을 조절하는 내분비조직으로 흔히 ‘랑게르한스섬’으로 알려져 있다. 남홍길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 단장은 미국 마이애미대, 스웨덴 웁살라대 ... ...
원료 넣고 펄펄 끓였더니 구멍이 숭숭
2014.11.18
매년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해온 학술 정보 서비스 기업 ‘톰슨로이터’가 올해 노벨 화학상 후보로 메조다공성물질을 지목했다. 메조다공성물질은 지름 2~5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의 구멍인 ‘메조 기공’이 송송 뚫려있는 소재다. 크기에 따라 기공의 종류도 나뉜다. 지름 2nm 이하는 ‘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