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형성해, 태양에서 오는 양성자와의 전기적 반발을 동력으로 삼는다. 돛을 펼 필요가 없기
때
문에 훨씬 넓은 면적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연구와 교육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 덕택에 법의인류학자들은 범죄 사건이 발생했을
때
피해자의 뼈가 담고 있는 메시지를 점점 더 정확히 해석해낼 수 있게 됐다. 몇 년 전 우리나라에도 두개골에 남은 골절 하나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됐다. 골절은 선명했지만 이 골절이 어떻게 발생한 것인지에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사람들과 공유하고 있는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한 건 사랑 자체였다. 이
때
문에 윤정의 삶이 바뀌지는 않을 것이다. 앞으로도 윤정은 덩치 크고 시끄러운 세 남자들과 함께 툴툴거리며 남은 세월을 살아갈 것이다. 하지만 은성에 대한 사랑은 그대로일 것이고 그 뒤로도 윤정의 일부로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그것 봐! 내 말이 맞잖아!”뜬금없이 무슨 말이냐고? 흠흠…, 일단 내 소개부터 해야지. 친구들 안녕! 나는 천재물리학자 아인슈 ... 앞으로 활용 방법이 무궁무진하지 않을까?친구들이 커서 그 방법을 직접 찾아보는 건 어
때
? 방법을 찾게 되면 나를 꼭 불러달라고~! 안녕 ... ...
[한자 과학풀이] 한자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의미랍니다. 과거에는 소금이 무척 귀했어요. 그래서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들
때
이를 지켜보는 관리자가 있었거든요.‘법도 도(度)’는 ‘집 엄(广)’과 ‘손 우(又)’가 들어 있는데, 집에서 손으로 길이를 재는 모습을 표현했어요. 길이를 재는 것만큼 정확해야 하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 ...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기도 합니다. 이처럼 수학은 여러 사람이 함께 연구하고 공부할
때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그동안은 수학자들처럼 친구들과 함께 수학을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적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교육부가 올해 2학기부터 중학교 1학년 통계 단원에 팀프로젝트형 수업을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거의 만난 것처럼 보일 정도로 매우 가깝습니다. 실제로 2003년 논문에서 8차원일
때
최적의 밀도는 E8격자에서 구한 밀도의 1.000001배를 넘을 수 없다고 증명해 보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콘 박사와 엘키스 교수는 8차원과 24차원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좋은 방법이 최적의 밀도일 거라고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다른 염기로 바꿔가며 실험했다. 특정 위치의 염기가 다른 종류의 염기로 바뀌었을
때
나타나는 변화를 확률 모형으로 나타냈다. 그 결과 어떤 위치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나는지 알 수 있게 된 것이다.만약 돌연변이를 치료할 수 있다면 엑스맨들은 환영할까? 엑스맨 속 돌연변이들은 여전히 자신의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아니다. 1800년대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에서 발견된 세레스의 궤도는 수학적으로 봤을
때
행성의 궤도라고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지름이 800km가 안될 만큼 작았고, 공전면도 심하게 기울어져 있었다. 결국 세레스는 소행성★으로 분류됐다.미국의 천문학자 마이클 브라운이 2003년에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비스듬히 물속에 들어가야 한다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그러니까 우리가 물수제비를 뜰
때
몸을 옆으로 기울이고 수면을 향해 돌을 던지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걸 증명한 셈이지요.연구팀은 물수제비가 몇 번이나 일어나는지 예측할 수 있는 수학 모형도 만들었어요. 이 수학 모형을 활용하면 ... ...
이전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