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목적으로 백도어가 제작됐다 하더라도 제3자가 알게 되면 침입의 통로로 악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출시 전에 반드시 모든 백도어는 삭제돼야 한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스마트폰은 안전합니까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도마뱀 같은 파충류도 사람처럼 잠을 잘 때 꿈을 꿀 것이라고 추정했다.이전에는 잠을 잘 때 렘 수면패턴을 보이는 것은 새와 포유류뿐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파충류인 도마뱀까지 렘 수면패턴을 보인다면, 이런 뇌 활동이 새, 포유류, 그리고 도마뱀의 공통조상 동물에서부터 이어받았을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먹는데, 흔히 청산가리라고 알려져 있는 시안화칼륨 성분이 100g당 15mg이나 함유돼 있기 때문에 다른 두 종은 감히 먹을 엄두도 못 낸다. 황금대나무여우원숭이가 매일 먹는 청산가리의 양은 몸무게가 비슷한 일반 원숭이 기준 치사량의 12배에 해당한다. 이렇게 독한 음식을 어떻게 소화시키고 독성을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날마다 조금씩 달라서 인체 플랫폼화 기술은 언제나 한결같은 성능을 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자가 얼굴의 표면 근전도 신호로 움직이는 전동휠체어(최영진 한양대 전자공학부 교수팀 개발)를 타려고 했을 때, 초기 설정을 하는 데에만 수십 분이 걸렸다. 김 박사는 “사람마다 다른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간지럼’, 가만히 생각해보면 정말 이상한 행동입니다. 만지는 건데 웃음이 나고, 웃음이 나다가도 조금 지나면 아프고 짜증이 나기 시작합 ... 환경과 상호작용해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유기체를 참고할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새로운 인류 화석이 발견됐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 종은 키가 1m, 뇌 용량이 현생인류의 3분의 1에 불과한 ... 형성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빠 노릇의 과학’은, 늦었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이 가장빠른 때라고 귀띔해 준다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픽터스 캣피시를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해 관찰한 결과, 픽터스 캣피시는 헤엄을 칠 때 가슴지느러미로 강물 바닥을 부드럽게 쓸고 다닌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가슴지느러미가 느끼는 촉각을 이용해 강물 바닥의 모양을 파악하는 거예요.또한 연구팀은 픽터스 캣피시의 가슴지느러미에 다양한 ...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다른 지역에 비해 그 수가 적은 곳은 대기가 많이 더럽다는 사실을 알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지의류는 ‘대기오염 지표종’으로 불린답니다. 지의류를 보면 대기가 그 지역 사람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알 수 있어요. 지의류종이 다양한 곳 일수록 폐암 발병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디지털 증거, 수학으로 찾는다!지난 4월 2일 토요일 오전, 서울대 129동 강의실에서는 서울대 수리과학부 김명환 교수가 한창 대수학★ 강의를 하고 있었 ... 클라인병★을 주제로 작품을 만드는 거예요. 뫼비우스 띠보다는 훨씬 복잡한 구조기 때문에 앞으로 쭉 위상수학과 함께할 것 같아요 ...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그 자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확률을 기반으로 한 복잡한 수식으로 신경망을 설계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통역기가 ‘Hello’라는 문장을 ‘안녕하세요’이라고 통역했다면 ‘안녕’이나 ‘여보세요’보다 의미가 정확히 맞을 확률이 높아서지요 ... ...
이전710711712713714715716717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