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를 담고 있는 플림프톤322★ 점토판이다.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이 있을 때 빗변 길이의 제곱은 다른 두 변의 길이를 제곱한 수를 합한 것과 같음을 말한다. 이 피타고라스 정리에 맞는 수의 쌍을 피타고라스 수라고 부른다.바빌로니아인은 피타고라스가 태어나기 1000년 전에 이미 ... ...
- [소프트웨어] 수학 알면 롸져~ 나도 파일럿!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부분마다 땅과 이루는 각도와 표면적, 가로세로 비율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 비행할 때 날개의 각 부분이 받는 공기의 상대속도와 바람도 계산합니다.이렇게 계산한 양력과 공기 저항력을 추진력, 중력과 함께 함수에 넣습니다. 우리가 실제 파일럿이 된 것처럼 스릴 넘치게 게임 속 비행기를 몰 ...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팬케이크를 맛있게 굽는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팬케이크가 가장 맛있게 구워진다는 것을 실험으로 알아냈어요. 반죽이 적당히 걸쭉하기 때문에 수분이 잘 빠져나가 구멍도 작게 뚫리고, 가장자리도 타지 않고 바삭하게 구워졌어요.팬케이크 실험으로 녹내장 예방하기?!재미있는 사실은 연구팀이 녹내장을 예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이 실험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내각의 합(60°+60°+120°+120°)이 360°가 돼 준정다각형 테셀레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때 정삼각형과 정육각형을 번갈아가며 배열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준정다각형 테셀레이션을 만드는 방법은여러 가지입니다. 방법에 따라 테셀레이션에 들어가는 정다각형의 종류와 개수, 배열이 각각 다릅니다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박사후연구원은 “대학서열 완화”를 꼽았다. “한국은 극단적인 대학서열화 때문에 연구비가 최상위 5개 대학에 과도하게 몰려있습니다. 여기서 만들 수 있는 박사급연구자 일자리는 한계가 있습니다. 독일은 대학평준화로 평균 이상의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대학이 많고, 인재도 고루 분포돼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빈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최종산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사람의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쓰고자 한다면 대장균의 생체 시스템이 좀 더 정확하게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CGC를 CGT로 변환하는 최적화 작업이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튀어나와 있다. 센서가 배바닥으로부터 4m 가량 더 내려갈 수 있도록 설계한 것. 프로펠러 때문에 배 바닥 부분에서 생길 수 있는 난류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서다.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를 1층 메인덱 상황실에서 여러 개의 모니터를 통해 한 눈에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정보를 위성통신을 통해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몸 전체를 이용해 시체의 부패 정도를 판단하는 경우 연구자들 간에 일관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또 세 부위의 점수를 더한 종합신체점수의 범위가 35점까지 늘어나게 돼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하는 데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 메기에시 박사가 만든 점수체계와 방정식을 개선·보완한 논문이 2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전 서울대 교수의 연구부정 제보가 처음 올라온 곳도 브릭이었다.“심지어 천안함 사건 때도 과학적인 논쟁이 치열했어요. 보고 있자니 좀 서글프더라고요. 생명과학과는 상관없는 주제잖아요.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얼마나 없으면 여기 와서 이럴까…. 아쉬웠어요.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문화가 강한 사회에서 더 문제시되고 있다. 개인 간 유대가 끊어진 증거라는 주장 때문이다. 그러나 식사를 누구와 함께할 건지, 심지어 혼자 할 건지 결정하는 건 어디까지나 개인의 자유다. 이런 문화 자체를 금지하거나 강제할 수는 없다. 진짜 문제는,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이다. 혼밥 혼술이 ... ...
이전7117127137147157167177187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