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야인도 담배 피웠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것으로 추정되는 토기였다. 그 외의 토기에서는 니코틴이 나오지 않았다.연구에 참여한
미국
렌슬리어공대의 드미트리 자고레프스키 박사는 “특정 용도로 쓰였던 고대 토기는 드문 사례”라며 “이 연구는 마야의 문자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화학 분석법을 고고학에 응용한 ... ...
날아가는 빛도 찍는 초고속 카메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12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에서 재미있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1초에 무려 1조 프레임을 찍을 수 있다는 초고속 카메라, 펨토 포토그래피다. 1초에 수만 프레임이면 날아가는 총알을 찍을 수 있는데, 이 카메라는 날아가는 빛까지 찍을 수 있다.펨토 포토그래피는 티타늄-사파이어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현재로서는 없다.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이 기준에 대해서
미국
정부가 정확한 지침을 내려주기전까지 결정을 보류하고 있다.어떻게 치료하고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만에 하나 실험실에서 변종 바이러스가 탈출해 세계적으로 창궐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감염되었을 때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성숙해5년이 지난 2004년 기드 박사팀은 해상도가 훨씬 높은 데이터가 담긴 후속 논문을 ‘
미국
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대뇌피질을 34개 영역으로 세분해 각각의 회백질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뇌의 기능과 뇌 발달의 속도가 연관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예를 들어 시각, ... ...
휴대전화 판매원 '니하나 사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엉망으로 만들어 놓았어! 어떤 게 진짜지?”사실 전화기 발명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미국
의 발명가인 엘리사 그레이도 액체 송화기를 사용한 전화기 디자인 특허권을 신청했는데, 그레이엄 벨이 먼저 제출해서 빼앗겼다는 일화가 있다. 벨은 그레이가 특허 신청서에 넣은 그림을 보고, 자신의 ... ...
숫자 세는 똑똑한 비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소식이 전 세계에 알려진 적이 있어요. 그런데 사람들은 기억을 못하나 봐요. 2005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듀크대학교의 에릭 저비스 교수팀은 새의 뇌가 포유류의 뇌와 매우 비슷하다고 신경학 저널 ‘네이처 리뷰스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주장했어요. 저비스 교수는 새대가리는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것이다. 이실험으로 동물도 실수와 반복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됐다. 이후
미국
의 행동주의 심리학자인 벌허스 스키너는 동물이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스스로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예를 들어 개가 주인 앞에 앉을 때 주인이 먹이를 주면 그 이후로 개는 음식이 먹고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 있다. 하루에 세 번, 3분간 양치질을 한 사람에게 포인트를 더 주는 방식도 가능하다.
미국
에서 설립된 벤처 ‘그린구스(www.greengoose.com)’는 정확히 셸의 비전을 실현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작은 변화가 삶을 즐겁게 만든다’는 비전을 내세운 그린구스는 가정 내 무선 공유기에 작은 녹색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판매가 금지됐다. 중국은
미국
과 함께 세계 최대의 전자담배 생산국이다.지난달
미국
에서는 전자담배가 기도를 수축시키고 염증을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담배통제센터가 건강에 문제가 없는 3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다.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전자담배는 ... ...
인공지구야 돌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내 뒤태, 아니 속태(!)를 닮은 이 ‘인공지구’의 이름은 바로 ‘다이나모3m’야.
미국
메릴랜드대 물리학과 다니엘 래이스롭 교수가 10년에 걸쳐 만든 실험기구지. 처음엔 지름 20cm에서 시작해 점점 커다란 모형을 만들기 시작했어. 만약 다이나모3m가 자기장을 만들고 스스로 유지해내는데 ... ...
이전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