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무려 4개나 달려있기 때문이다. 이 무게 때문에 파리로봇은 결국 날지 못했다.하지만
미국
하버드대의 로버트 우드 교수팀이 개발한 파리로봇은 비행에 성공했다. 우드 교수팀은 다른 전략을 취했다. 파리가 움직임을 만드는 원리는 물론 그 내부에 주목한 것이다. 파리는 등에 큰 근육이 하나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004년 인간은 중성자별을 대적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구슬 네 개를 우주로 쏘아 올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스탠퍼드대 연구팀이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중력탐사B’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우주로 발사했다. 구슬 네 개는 우주선 안에 있는 핵심적인 실험 장치다 ... ...
인공눈, 누가 만들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세균이라는 가설을 ‘사이언스’ 2008년 2월 29일자에 발표했다.눈 만드는 세균 발견1975년,
미국
위스콘신대의 대학원생인 스티브 린도우는 식물에 냉해를 입히는 세균인 ‘슈도모나스 시링가이(Pseudomonas syringae )’가 눈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 세균은 세포벽에 물을 끌어 모으는 특이한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런 거부가 된 건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보이어 교수는 유전공학의 선구자로 1981년
미국
의 시사주간지 ‘타임’(3월 9일자)의 표지를 장식했다. 그럼에도 재조합DNA 기술을 개발한 보이어 교수와 코언 교수 모두 노벨상을 받지는 못했다. 현재의 생명과학이 있게 한 가장 중요한 기술을 개발한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공이 바스켓으로 빨려들어가는 투사속력의 범위나 투사각의 범위가 넓으면 좋다.
미국
의 천체물리학박사 피터 브란카지오는 자신의 저서 ‘스포츠과학: 물리법칙과 최적동작’에서 행한 계산에 따르면, 높은 투사각도의 슛이 직선으로 던진 슛보다 바스켓에 도달하는 속력의 범위가 넓다. 다시 ... ...
산더미 같은 데이터에서 보물 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연관 관계가 있는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새로운 알고리듬이 개발됐다.데이비드 레셰프
미국
MIT 컴퓨터과학과 교수팀은 복잡한 데이터 중에서 항목을 찾아낸 뒤, 서로 상관관계를 이루는 데이터 짝을 추려 모아 순위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상관관계를 찾아내는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해 12월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위해서는 5시그마(99.99994%)가 필요하다. CERN의 경쟁자로 지난해까지 테바트론을 운용했던
미국
페르미연구소는 “두 결과를 각각 놓고 보면 주사위를 두 번 굴려 연속으로 6이 나온 수준에 불과하지만 124~126GeV를 가리키는 신호가 독립적으로 여러 번 나왔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논평했다.[2011년 12월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생각을 넣는 데 쓸 수도 있다. 외부에서 뇌의 특정부분을 자극하기만 하면 된다. 1999년
미국
UC버클리의 양 단 교수 연구팀이 미세바늘로 고양이의 시각 중추인 측면슬상핵 표면을 자극하자 고양이는 특정 영상을 보고 있다고 인식했다. 심지어 연구팀은 고양이가 보고 있는 영상을 읽어 컴퓨터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교수가 의욕이 넘치고 능력이 있어도 이런 환경에서는 창의성을 키울 수가 없습니다.
미국
스탠포드대의 D스쿨이나 MIT의 미디어랩처럼 창의적인 융합 교육 과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사회에 봉사하는 서울대생학생들을 보면서 안타까웠을 때도 많았을 텐데요.“다들 최고의 학생인데 들어와서 ... ...
걷고 뛰던 물고기가 육상동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동물들의 걷기가 물고기로부터 시작됐대요.
미국
시카고대학교 연구팀은 사람처럼 폐로도 호흡하는 아프리카 폐어가 사람처럼 걷는다는 소문을 들었어요.연구팀은 이를 확인하려고 폐어의 행동을 옆과 아래에서 촬영할 수 있는 특수 수조를 만들었지요. 그리고 여기에 폐어 중 하나인 프로톱테루스 ... ...
이전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