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구분"(으)로 총 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트 VS 바이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0412
-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가 정보를 처리하는 가장 작은 단위가 ‘비트’예요. CPU는 켜짐과 꺼짐, 참과 거짓만을 구분하는 ‘기계어’를 이해하기 때문에 비트는 0이나 1값만 가진답니다.*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8호(2013년4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돼지가 궁금해? 돼지 보러오면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30329
- 돼지들은 먹는 곳과 자는 곳, 싸는 곳을 스스로 구분할 수 있어요. 본능적으로 깔끔하기 때문에 먹는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배변을 하지요. 게다가 돼지는 땀샘이 없어서 6개월간 씻지 않아도 냄새가 나지 않아요. 하지만 사람들은 고기를 많이 얻기 위해 돼지 여러 마리를 아주 좁은 우리에 가둬 키워요. ...
- 진달래 vs 철쭉어린이과학동아 l20120530
- 봄이면 산에서 분홍색 꽃을 많이 볼 수 있어요. 멀리서 보면 마치 산이 분홍색으로 물든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진달래인지 철쭉인지 헷갈려요. 두 꽃을 구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1호(2012년06월0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거북은 바다 고속도로를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090114
- 뒤쪽 자리에 앉는 사람들은 자신만의 공간을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받고 싶어 하지 않는 등 자리에 따라 7가지 그룹으로 성격을 구분할 수 있었어요. 따분하기만 한 버스를 흥미진진한 심리학 연구 대상으로 삼은 파셋 교수의 창의력이 놀랍네요. 만화뉴스 캐나다 알버타 대학교 연구팀은 1985년, 1986년, 2005년, 2006년의 4월과 5월에 걸쳐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31
- 기분이 들게 한다. 따라서 음악과 뇌의 관계를 보면 즐거움의 정체를 알 수 있다. 음악을 들으면 소리를 듣는 청각피질, 기억된 음을 구분하는 해마, 박자를 느끼는 소뇌와 함께 감정을 담당하는 전전두피질이 작동한다. 전전두피질은 다음에 어떤 음이 올지를 기대하는데, 기대하던 음이 오지 않으면 갈등을 느끼다가 그 음이 오면 만족감과 함께 즐거움을 ...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길어요. 기후대가 변할 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휴전선 남쪽과 북쪽에 많이 자라는 나무는 각각 낙엽활엽수림과 침엽수림으로 구분이 돼요. 그러니까 저는 남쪽 지역의 대표 나무라고 보는 게 좋아요. 지금은 불가능하지만 만약 휴전선 북쪽까지 조사가 이루어지는 날이 온다면 그 땐 저말고 다른 나무도 대표가 될 수 있겠지요.” 내가 백두대간 대표 나무! ...
- 꿈꾸는 로봇들의 축제, 로보월드 2008!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않았지만 물건을 구분하는 네트워크 인지로봇도 새로 개발됐어요. 바로 저 마루-M이지요. 저는 물체를 보고 그 물체가 무엇인지 구분해 손으로 조심스럽게 잡을 수도 있답니다. "네트워크 인지로봇은 정보를 받아들여 배우고 추론할 수 있는 로봇으로, 프로 그램으로 정해진 동작만 하는 로봇과는 차이가 많아요. 빈 접시를 세척기에 넣는 쉬운 ...
- 멜라민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가득 들어 있는 질소 성분이지요. 큰그림 보러 가기 그러니까 분유 검사를 할 때 우유 단백질에 있는 질소와 멜라민의 질소를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을 악용했다고 할 수 있지요. 멜라민에는 단백질 성분이 없어요. 다만 질소가 많을 뿐이지요. 보기 3은 잘못된 말이군요. [소제시작]보기 4_쌀과자에 분유가 들어간 이유는?[소제끝] 멜라민이 왜 분유에 ...
- 덜컹! 갑자기 비행기 고도가 떨어졌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일은 없어요.” 닥터고글이 어여뻐 양의 말을 듣고 곰곰이 생각하기 시작하는데…. “냐냐냥~냥냥(여기 높이에 따른 대기층의 구분과 온도 분포도가 있어).” “대기권은 아래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눠지죠. 대류권의 아래쪽은 덥고 위쪽은 차갑기 때문에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고, 각종 기상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때 닥터고글의 말을 가 ...
- 만화 천국, 한국만화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찍은 두 개의 영상을 하나로 합치면 그림이 중복되어 깨끗하게 보이지 않아. 하지만 이 영상을 특수안경을 쓰고 보면, 좌우 영상이 구분되어 인공적인 양안시차*가 생기게 돼. 그래서 영화가 입체로 보이게 된단다. 양안시차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같은 사물을 봤을 때 보이는 각도가 차이가 나는 것. 이 때문에 사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소제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