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구분"(으)로 총 758건 검색되었습니다.
- Under The Sea~♬♪ 누가누가 사나?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5
- 감고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요. 몸 길이가 2㎝밖에 안 되는 피그미해마는 몸의 색깔과 무늬가 부채산호와 거의 비슷해서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예요. 적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오랜 세월 동안 진화해 온 덕분이죠. [소제시작]내가 바로 바다 멋쟁이[소제끝] [은상] 쏠배감펭_강주홍 어둠 속에서 멋지게 빛나는 쏠배감펭이에요. 쏠배감펭은 주로 밤에 ...
- 요건 몰랐 '쥐'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좋은 음식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쥐는 눈이 나쁘기 때문에 대신 쓴맛을 잘 느끼도록 진화한 것이다. 이쯤 되면 냄새와 맛만으로 쥐약을 구분하는 레미의 능력이 그리 놀랍지도 않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생물학자 파둘이 만든 쥐는 일반 쥐보다 무려 1만 배나 냄새를 잘 맡는다. 냄새를 맡는 데 관여하는 kv1.3 단백질을 없앤 결과, 이런 쥐가 ...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2)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부분과 어두운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고유 코드로 인식한단다. 인식된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면 누구의 홍채인지 구분할 수 있는 거지. [소제시작]바이오 인식으로 달라진 세상[소제끝] 우리나라에서는 약 10년 전부터 특별히 보안이 필요한 곳에 지문인식장치가 쓰이기 시작해, 오늘 날에는 현관문을 여는 데까지 바이오인식이 쓰이고 있어. ...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1)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안 될 정도로 사람들의 지문은 모두 달라. 물론 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이 다르지. 중국에서는 기원전 7000여 년 전부터 지문을 사람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이용했다고 해. 놀랍지? 정확하고 편리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우리 몸의 열쇠야. 손 모양 1980년대 미국 공군 조종사의 장갑을 만드는 과정에서 개인마다 손가락 길이가 조금씩 ...
- 사람 소리 구별하는 똑똑한 모래쥐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있는 통으로 달려갔어요. 모래쥐가 모음을 구별할 수 있게 된 거죠. 과학자들은 이 실험을 통해, 유아기 때 소리의 차이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소제시작]2. 번쩍번쩍 형광 고양이[소제끝] 지난해 12월 13일, 경상대학교 동물복제연구팀과 순천대학교 발생학연구팀은 적색 형광빛이 나는 복제고양이를 세계 최초로 ...
- 2020년 한국도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구슬을 쳐요. 구슬은 인형 쪽으로 굴러가 인형이 들고 있는 종, 북, 징을 치게 해요. 밤에는 북과 징이, 낮에는 종이 울려 밤과 낮을 구분할 수 있어요. 또 매 시간마다 그 시간을 상징하는 동물 인형이 상자 속에서 튀어나온답니다. 구슬의 크기가 1mm만 틀려도 정확한 시간을 알려 줄 수 없을 정도로 세심하고 과학적인 시계죠. 앞으로 계획은 무 ...
- 첨벙! 고향 땅이 물에 잠겼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고장나 버렸거든요.” *사이클론 : 인도양, 아라비아해, 벵골만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열대 저기압은 발생하는 지역에 따라 구분되는데, 태평양에서 발생하면 ‘태풍’, 대서양에서 발생하면 ‘허리케인’이라고 부른다. [소제시작]사건 분석 1 고향이 어디야?[소제끝] “그렇다면 내가 우리 고향에 대해 이야기를 해 줘야겠군요. 그런데 명색이 명탐정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낮아 사물을 분간하기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카메라의 성능이 좋아져 수십㎝ 크기의 물체도 구분할 수 있게 돼. 사람의 얼굴을 구분하거나 고해상도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일도 얼마든지 가능해. 이처럼 미래 사람들의 생활은 크게 변했단다. 어떻게 변했는지 가까운 미래 사람들의 생생한 증언을 들어 볼까? 나츠미 양(10세, 학생)의 이야기 저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먹고, 자고, 화장실을 가는 걸까? 몹시 궁금한걸? 몸이 변한다? 우주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무중력으로 몸이 둥둥 뜨고 위아래의 구분이 없어져. 무척 재미있는 경험이겠지만 방향감각을 잃어 멀미가 심하게 나지. 많은 훈련을 받은 우주인도 멀미로 고생한대. 우주에서 하루나 이틀이 지나면 키가 커져. 지구에선 척추 사이의 연골을 중력이 잡아당기고 있 ...
- 용을 꿈꾸는 잠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070831
- 부르지요. 잠자리의 낱눈은 1만 개가 넘기 때문에 물체의 작은 움직임도 잘 볼 수 있어요. 그 대신 움직임이 없는 물체는 잘 구분하지 못한다고 해요. 잠자리의 날개는 좌우에 2장씩 모두 4장이에요. 얇고 투명한 막처럼 생긴 이 날개는 가볍고 튼튼하지요. 잠자리는 다른 곤충과 달리 앞날개와 뒷날개를 엇갈려 움직이며 날아요. 그래서 공중에 멈춘 채 ...
이전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