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구분"(으)로 총 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지능형교통체계의 발달로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서도 신호를 바꿀 수도 있게 됐다. 긴급 차량 먼저!-대화하는 신호등 {BIMG_r12}차량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검지기의 성능만 높여서는 안 된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차량 안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비콘)를 넣는 방식. 교차로로 자동차가 다가오면 검지기가 차량의 비콘 신호를 인식해 신호등의 색을 ...
- 으악! 내가 주워 온 아이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부부에게 혈액형의 유전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혈액형은 적혈구에 있는 항원의 종류에 따라 구분돼요. A형, B형, O형 등으로 구분되는 ABO식 혈액형이 가장 널리 쓰이고, 부모에게서 자녀에게 유전돼죠. 사람은 각각 A, B, O형 유전자를 두 개씩 갖고 있는데, 양쪽 부모에게서 각각 하나씩 받는 거예요.” “유전자가 두 개라고요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2)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한다. 선진국에서 더 위험한 간염 간염은 바이러스에 감염돼 간에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A형, B형, C형 등으로 구분된다. A형 간염은 혈액이나 체액으로 전달되는 B형이나 C형과 달리 환자의 배설물을 통해 퍼진다. A형 간염에 걸리면 식욕부진이나 구토 등의 증상을 일으키다가 점차 회복되며, 한 번 걸리면 평생 면역을 갖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1)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멸종했기 때문이에요. 거대 동물들이 갑자기 멸종할 만큼 큰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이 때를 기준으로 홍적세와 충적세를 구분하게 되었답니다. 큰그림 보러가기 [소제시작]10000BC의 거대 동물들[소제끝] 10000BC에는 도대체 어떤 거대 동물들이 사람과 함께 살고 있었을까요? 잘 알고 있는 매머드부터 10000BC에 살았던 여러 거대 동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2)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기후에 적응하지 못해서 멸종했을 거라고 해요. 1만 2000년 전 쯤 지구는 빙하가 적어지고, 기후는 따뜻하고 건조해졌으며, 계절의 구분이 확실해졌어요. 이렇게 기후가 따뜻해지자 거대한 동물들은 체온을 조절하기 힘들어졌어요. 몸집이 커질수록 몸 밖으로 내보낼 수 있는 열의 양이 적고, 피를 빨리 순환시키기 힘들기 때문이지요. 몸의 온도 조절이 ...
- 홀라당~뒤바뀐 달걀?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수정이 된 뒤, 암탉이 알을 낳아 품으면 병아리가 되죠. 달걀은 보통 한가운데 있는 노른자와 노른자를 빙~ 둘러싸고 있는 흰자로 구분돼요. 대부분 노른자가 병아리로 변한다고 알고 있는데, 사실 노른자와 흰자 둘 다 병아리가 알 속에서 자라면서 먹는 영양분이에요. 노른자에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 몸에 좋은 것들이 많이 들어 있거든요. 흰자는 ...
- Under The Sea~♬♪ 누가누가 사나?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5
- 감고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요. 몸 길이가 2㎝밖에 안 되는 피그미해마는 몸의 색깔과 무늬가 부채산호와 거의 비슷해서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예요. 적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오랜 세월 동안 진화해 온 덕분이죠. [소제시작]내가 바로 바다 멋쟁이[소제끝] [은상] 쏠배감펭_강주홍 어둠 속에서 멋지게 빛나는 쏠배감펭이에요. 쏠배감펭은 주로 밤에 ...
- 요건 몰랐 '쥐'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좋은 음식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쥐는 눈이 나쁘기 때문에 대신 쓴맛을 잘 느끼도록 진화한 것이다. 이쯤 되면 냄새와 맛만으로 쥐약을 구분하는 레미의 능력이 그리 놀랍지도 않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생물학자 파둘이 만든 쥐는 일반 쥐보다 무려 1만 배나 냄새를 잘 맡는다. 냄새를 맡는 데 관여하는 kv1.3 단백질을 없앤 결과, 이런 쥐가 ...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2)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부분과 어두운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고유 코드로 인식한단다. 인식된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면 누구의 홍채인지 구분할 수 있는 거지. [소제시작]바이오 인식으로 달라진 세상[소제끝] 우리나라에서는 약 10년 전부터 특별히 보안이 필요한 곳에 지문인식장치가 쓰이기 시작해, 오늘 날에는 현관문을 여는 데까지 바이오인식이 쓰이고 있어. ...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1)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안 될 정도로 사람들의 지문은 모두 달라. 물론 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이 다르지. 중국에서는 기원전 7000여 년 전부터 지문을 사람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이용했다고 해. 놀랍지? 정확하고 편리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우리 몸의 열쇠야. 손 모양 1980년대 미국 공군 조종사의 장갑을 만드는 과정에서 개인마다 손가락 길이가 조금씩 ...
이전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