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해"(으)로 총 2,4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된다고도 생각했다. 그러나 p가 소수인 11일 때는 11-1=2047이고, 2047은 23×89로 소인수분해가 되는 것을 알게 됐다. 즉 이때는 소수가 아닌 것이다. 소수의 규칙은 쉽게 찾아지지 않았다. p의 크기를 키워가며 이 소수가 되는 숫자들을 찾던 메르센은 p가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일 ...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자며, 낮에 주로 활동해요. 잎을 주식으로 먹기 때문에 뱃 속에 나뭇잎의 셀룰로오스를 분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를 가지고 있지요. 또한, 필요한 수분을 모두 먹이를 통해 공급받기 때문에 물을 마시러 땅에 내려올 필요가 없답니다.붉은정강이두크는 멸종 위기 등급에서 ‘위기’ 상태에 놓여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회복해. 반면, ALDH 효소를 잘 못 만드는 유전자(ALDH2-2)를 가진 사람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분해되지 않고 혈액 속에 쌓이지. 술 마시는 내내 얼굴이 시뻘겋고 머리가 아프니까 술을 많이 마시지 못해. 알코올 의존 환자가 될 가능성도 낮아.최인근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 ...
- [과학뉴스] 나노와이어, 천연가스로 ‘싸게 싸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천연가스 열분해 공정을 이용해 새로운 나노와이어 제조기술을 개발했다.천연가스 열분해 공정은 가스를 가열해 탄소를 분리한 뒤, 금속에 덧입히는 비교적 간단한 공정이다. 연구팀은 천연가스를 800℃ 온도로 가열해 탄소를 분리시키고 이것으로 게르마늄 금속을 나노와이어 형태로 성장시켰다. ... ...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곡물이 삭아요. ‘삭는다’는 건 곡물 속녹말이 엿기름 속의 ‘아밀라아제’에 의해 분해되는 거예요. 그뒤 면주머니에 넣고 꼭 짜면 단물이 나오는데, 이걸 3~4시간 정도 졸이면 조청이 된답니다. 이때 면주머니에 넣기 전 삭은 곡물과 단물이 섞여 있는 것이 식혜예요. 조청보다 더 걸쭉하게 졸이면 ... ...
- [Tech & Fun] Inspired by human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유해물질 감지, 마약 및 생화학무기 검출 등에 쓰일 예정이다.인공혀 : 와인 맛까지 구분해미각수용체를 기판에 이식해 만든다. 음식 성분에 따라 맛의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고, 사람과 달리 강도가 센 맛을 인식한 뒤에도 다른 맛을 잘 구분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개발한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아마내 의견이 곧장 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아직 기회가 있을 때 등대를 분해해 볼 것인가, 아니면 지금처럼 관찰하고 기다릴 것인가. 내 의견은 당신과 얘기를 나눈 다음에 정하기로 했었고요.’나는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처음부터 지금까지, 살아 있는 동물이라고 부를 만한 것은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쓴다는 점이다. 김윤신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 법의학교실 교수는 강산 대신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는 대체방법을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90쪽 인터뷰 참조).한편, 플랑크톤은 시체가 물에 들어간 시간도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플랑크톤은 물에 들어가자마자 시체에 붙고,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누명을 쓴 이유는 잘못된 연구탓!커피가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유전적으로 카페인을 분해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카페인을 마시면 심장질환이 생길 수 있다. 종이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분쇄한 커피콩을 그대로 뜨거운 물에서 우리는 프렌치 프레스 방식의 커피를 하루에 여섯 잔 이상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2개(한 쌍)에 불과한 핵DNA와 달리, 세포 하나 당 200~1700개나 있다. 그래서 세포가 산산이 분해되는 와중에도 비교적 오랫동안 멀쩡한 mtDNA가 남아있을 수 있다.하지만 핵DNA 분석법보다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일반적인 현장에선 잘 쓰지 않는다. 보통은 시체에서 부패가 많이 진행돼 핵DNA를 검출하기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