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뉴스] 식물 세포 길러 가구를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그 결과, 나무처럼 단단한 정도로 리그닌의
양
을 늘릴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원하는 모
양
의 틀 속에 식물 세포를 키워 가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변이 vs. 백신 재설계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절차를 거쳐야 한다. 재설계 백신 이외에 변이 바이러스의 항원과 기존 백신을 혼합해 다
양
한 항원에 반응하는 다가 백신을 개발하는 논의도 진행 중이다(위 박스).모더나는 백신 재설계와 함께 기존 백신의 항체 생성량을 늘리는 방안도 연구할 계획이다. 1월 25일 모더나는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인 ... ...
[특집] 과학 담은 가드닝 비법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앙그라이쿰 세스퀴페달레·Angraecum sesquipedale)은 바위 등에 붙어 사는 착생란이다. 큰 별 모
양
의 하얀 꽃이 아름다운 향기를 내뿜는다.다른 난초보다 유독 몸집이 큰 다윈난은 마다가스카르 출생이다. 다윈은 발견했을 때 다윈난과 공진화한 주둥이가 있는 곤충이 존재할 것이라고 추론했다 ... ...
[인포그래픽] 추진력 향상 운동 '힐 드롭'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가장 넓은 부분으로 딛고
양
발은 엉덩이 너비의 절반 정도로 벌린다. 반드시 몸무게가
양
발 앞부분에 균등히 분산되도록 한다. 발목을 중립 상태에 두고 발은 바닥과 평행하게 둔다. 그 다음에 발꿈치를 가능한 한 가장 높게 든다. 상체손으로 난간 등을 잡아서 몸을 안정화해 이 운동을 하는 ...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되면서 음성 인식 기술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됐습니다. 음성 인식 기술은 현재 다
양
한 AI와 결합해 사용되고 있죠. 음성 인식 기술의 변천사를 알아볼까요? * 보충설명목소리의 기본 주파수 :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1초에 성대를 진동시키는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것을 발견하고 그 결과를 2004년 3월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양
성 피드백의 결과로 경로의 편향성이 생긴 것이죠. 페로몬으로 길 찾기 문제를 푼다고?개미 집단은 지휘 체계 없이 효율적으로 경로를 형성합니다. 이런 개미의 움직임에 영감을 받아 만든 문제 해결법 중 하나가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육면체 모
양
웜뱃 똥의 비밀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것을 확인했습니다.
양
박사후연구원은 “웜뱃이 육면체 똥을 싸는 원리를 연구하면 다
양
한 소재로 육면체 형태의 물체를 만들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소프트 매터’ 1월 21일자에 실렸습니다.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
양
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좋아한다. 그 모습은 너무 거만해 보여서, 지나가는 사람 중에 30% 정도가 “사람들이 길고
양
이 밥 주는 것만 얻어먹고 살다 보니 너무 게을러져서 아주 온 세상이 자기 건 줄 알아”라고 괜히 투덜거릴 정도다.그러나, 가끔 아무 인적도 없는 깊은 밤, 우주 저편에서 온 탐사 우주선들은 다시 평화가 ... ...
[특집] 미션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공평한 게 아닙니다. 빵 42개를 3명에게 나눠준다고 생각해 봅시다. 모두에게 똑같은
양
만 나눠줘도 된다면 빵 종류에 상관없이 각자에게 14개씩 주면 돼요. 하지만 맛있는 초코소라빵을 모두 최소 1개는 맛보고 싶다면 어떨까요? 빵을 위의 그림처럼 나누면 정만아는 초코소라빵을 한 개도 먹지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다각형법으로 극한의 계산을 시도했던 코일렌처럼 무한급수를 이용해 엄청난
양
의 계산을 해낸 사람이 있었습니다. 1873년 소수점 아래 707번째 자릿수까지 계산한 영국의 아마추어 수학자 윌리엄 샹크스입니다. 무려 15년에 걸친 계산 결과입니다. 이후 컴퓨터 계산을 통해 527번째 자릿수까지만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