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으며,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기후, 해양 및 고체지구과학 부문 박사후연구원, 노르웨이 극지연구소에서 해빙원격탐사 연구원을 지냈다. 극지 기후를 이해하기 위한 해빙원격탐사가 주 연구 분야다. gunnar.spreen@uni-bremen ...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생명체의 흔적’이 발견됐다는 연구가 발표됐습니다. doi: 10.1038/s41550-020-1174-4 금성은 태양계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살짝 걸쳐있긴 하지만 이산화탄소 대기의 온실효과 때문에 표면 온도가 470℃에 달합니다. 이런 뜨거운 행성 표면에 생명체가 살 가능성은 거의 없는데, 생명의 흔적이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들어봅시다. 기글즈의 머리는 기어 모양입니다. 에바(EVA)폼이란 소재로 기어 모양을 만들고, 아크릴 소재로 만든 고글을 씌워줬습니다. 두 개 다 레이저 커팅기를 이용해 제작했습니다. 기글즈의 몸통은…. 키쿠 님이 소유한 곰 인형의 머리통을 뜯어내고, 몸통만 취해 마련했습니다. 무드 등 위에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데이터는 나연이의 목소리와 비슷한 또래 아이들의 목소리로 채웠어. 이렇게 만든 많은 양의 데이터로 학습시켜 마침내 나연이의 목소리를 재현해냈지. 이렇게 딥러닝은 데이터만 있다면 우리에게 그리운 사람의 목소리를 들려줄 수 있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화가구글의 ‘딥드림’은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이런 문제는 이렇게 풀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했는데, 한 문제에도 다양한 풀이법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어요! Q 장래 희망은 무엇인가요? 왜 그런 꿈을 꾸게 됐는지 함께 알려주세요~.저는 데니스 홍 박사님처럼 인류를 돕는 로봇을 만드는 로봇공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로봇은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 우리가 AI에게 요구해야 할 공정성 역시 이렇게 다양한 스펙트럼 안에서 어떤 공정성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극단적으로는 우리 사회의 공정하지 못한 측면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AI를 활용하는 상황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최근 사회정책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질량분석과 차세대염기서열해독기술(NGS)을 활용하면 세포의 종류, 발생학적 시기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추출한 DNA와 mRNA, 단백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김 교수는 “멀티오믹스를 활용하면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라 각 기관과 조직별로 정확한 유전체 지도와 단백체 지도를 만들고 이들의 ... ...
- [2021 소미더뭐니] 우승자에 소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줄 거예요. 소들은 넓은 들판에서 지내고, 인간은 대체육을 먹으며 공존하겠지요. 배양육은 기존 축산업이 가지고 있는 환경 오염, 자원 낭비, 동물윤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요.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인수공통질병도 막으며 건강한 지구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고 기대해요 ... ...
- [헷갈린 과학] 이 정도면 쌍둥이? 시베리안 허스키 vs 알래스칸 맬러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허스키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알래스칸 맬러뮤트의 귀는 끝이 살짝 둥글며, 양 귀 사이의 간격이 시베리안 허스키보다 먼 것이 특징이에요. 또 파란색, 갈색 눈을 지닌 시베리안 허스키와 달리, 맬러뮤트의 눈 색깔은 갈색으로 한 가지예요. 꼬리는 여우처럼 위로 말아 올려있어 축 쳐진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래프로 그려 보여주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분석하는 AI의 다양한 알고리듬 중에 어떤 알고리듬이 얼마나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그래프에서 색이나 빈도수로 알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을 활용하면 블랙박스에 갇힌 것처럼 알쏭달쏭했던 AI의 판단 기준을 파악해 AI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