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래프로 그려 보여주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분석하는 AI의 다양한 알고리듬 중에 어떤 알고리듬이 얼마나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그래프에서 색이나 빈도수로 알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을 활용하면 블랙박스에 갇힌 것처럼 알쏭달쏭했던 AI의 판단 기준을 파악해 AI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들어봅시다. 기글즈의 머리는 기어 모양입니다. 에바(EVA)폼이란 소재로 기어 모양을 만들고, 아크릴 소재로 만든 고글을 씌워줬습니다. 두 개 다 레이저 커팅기를 이용해 제작했습니다. 기글즈의 몸통은…. 키쿠 님이 소유한 곰 인형의 머리통을 뜯어내고, 몸통만 취해 마련했습니다. 무드 등 위에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 우리가 AI에게 요구해야 할 공정성 역시 이렇게 다양한 스펙트럼 안에서 어떤 공정성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극단적으로는 우리 사회의 공정하지 못한 측면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AI를 활용하는 상황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최근 사회정책을 ...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정말 놀랍습니다. 어수동 친구들도 주변을 찬찬히 둘러보세요. 혹시 우리 집 강아지와 고양이가 수학을 할지도 모르니까요! ※용어정리정답률 : 어떤 문제에 대해 정답을 선택한 비율이에요. 10문제 중에 7문제의 정답을 맞혔다면 “이 문제의 정답률은 70%야”라고 말할 수 있어요 ...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국내에서도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과학 대중화와 미래 과학자 양성에 중요하다고 설명한다.박 교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일반 시민들이 과학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시민과학은 단순히 전문가가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스스로 데이터를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창의성과 혁신성을 수치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700~1900년 사이에 작곡된 서양 피아노 악보에서 동시에 연주되는 음정으로 만들어진 ‘코드워드’를 추출한 뒤 다른 악보와의 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베토벤은 사후 100년 가까이 후대 작곡가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최고의 혁신적 작곡가는 ... ...
- JOB 돋보기, 어떤 일을 하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염기성인 물방울을 소스에 조금씩 떨궈 빨간색으로 변할 때까지 들어간 물방울 양을 구하는 거예요. 염도는 소금과 만나면 앙금이 생기는 물질을 넣어서 구해요. 브릭스 당도는 액체 재료의 단맛이 높아질수록 빛이 더 많이 휘는 현상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어요.새로운 소스를 만들 땐 재료를 ... ...
- [하야부사 2호] 너는 류구에서 어떤 탐사를 했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샘플의 총량은 0.1g이었어요, 그런데 실제로는 5.4g을 수집하여 원래 계획보다 훨씬 많은 양을 수집하는 성과를 냈지요.류구에서의 임무로 하야부사 2호는 세계 최초 소행성 내부 탐사, 소행성 다중 착륙, 소행성 인공 크레이터 형성 등과 같은 여러 기록들을 세웠어요. 현재 하야부사 2호는 채취한 ... ...
- [과학뉴스] 가스 뿜어내는 은하, 최후 맞이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가스의 양을 확인했다. ID2299가 1년 동안 방출하는 가스는 태양 질량의 1만 배에 해당하는 양으로, 지금까지 은하 전체 가스의 46%가량이 방출됐음을 알 수 있었다. ID2299에서는 두 개의 은하가 합쳐질 때 만들어지는 ‘조석 꼬리’ 현상도 관측됐다. 연구팀은 두 개의 은하가 충돌하면서 대규모 가스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모아 전문가의 조언을 들어봤다. “저는 집에서 가만히 있기를 좋아하지만 먹는 양이 많아서 가만히 앉아있으면 건강에 해롭기 때문에 러닝머신을 해요.” - 휴먼로봇 님집에 가만히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홈트레이닝을 시작했거나, 갑자기 살이 쪄 ‘확찐자’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가장 먼저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