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부
학업
연구
수업
배우기
면학
스터디
d라이브러리
"
학습
"(으)로 총 2,115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그는 또 “우리는 이미 양자 기계
학습
알고리듬을 몇 가지 개발했다”며 양자컴퓨터와 AI의 융합연구가 시작됐음을 시사했다. 소프트웨어 시장 동시 공략마이크로소프트는 구글과는 다른 노선을 선택했다. 2005년 양자컴퓨터 개발을 담당할 연구소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이를 어떻게 인식할까. 식스 센스 팀은 기존 인식과 일치하지 않는 외부 자극이 무의식
학습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해 직접 실험 참가자를 모집하고, 데이터 분석을 위해 통계학도 공부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한국인지및심리학회’ 학술대회에서 포스터 발표로 선정돼 공개됐다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푸는 데 유용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며 “향후 기계
학습
을 접목해 더욱 정밀한 수술로봇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DGIST에는 독특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수업도 많다. 예컨대, 3학년 생명과학 과목들은 교과서가 아니라 최신 생명과학 논문을 교재로 삼는다. 현재 ...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니콜 카라코스 미국 듀크대 신경 생물학과 교수팀은 기억과
학습
에 관여하는 뇌의 선조체 부위에서 습관 형성의 지휘자 역할을 하는 뉴런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레버를 누르면 설탕을 제공해, 쥐가 습관적으로 레버를 누르게 한 뒤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훗날 인류로 진화한 ‘호미닌’이 이야기의 서막을 연다. 일곱 번째 문턱은 집단
학습
을 통해 세대를 넘어 정보를 축적하는 호모 사피엔스 이야기를 시작으로 인류 문명의 발달을 다룬다. 여덟 번째 문턱을 지나면, 오늘날의 세계를 있게 한 산업혁명을 이해할 수 있다. 각 문턱은 누구나 한번쯤 ... ...
[과학뉴스] 푹 자야 운동도 잘 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신경 연결이 더욱 강화되고, 필요 없는 연결은 제거됐다”며 “충분한 수면은 운동
학습
속도를 높인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7월 18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n.460 ... ...
[과학뉴스] AI 이용해 덜 녹스는 금속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연구팀이 개발한 알고리듬도 결정의 경계선에 대한 특징을 입력하면 이를 기존에
학습
한 데이터와 비교해 새로운 재료의 특성을 예측한다. 연구팀의 최종 목표는 이 알고리듬을 활용해 강하고 가벼우며 부식이 없는 금속을 더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호머 교수는 “미국은 금속재료의 부식 ... ...
네 감정을 맞혀볼까? 취조실에 나타난 표정분석기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연구팀은 컴퓨터가 미세표정을 찾는 능력이 사람과 비슷했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학습
데이터를 모은다면 성능이 좋아질 겁니다. 프레임★ 움직이는 영상을 구성하는 정지된 이미지들 중 한 장. 하지만 이 알고리즘도 한계가 있습니다. 무표정이 아닌 다른 표정을 억지로 짓는 사람의 가짜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있다. 세계 각지에 있는 병원에서 새로운 정보가 들어와 그만큼 빠른 속도로 다양하게
학습
하는 것이다. 때문에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의료용 AI를 개발하더라도 각 병원이 갖고 있는 데이터만으로는 왓슨만큼 정확하고 정밀하게 치료법을 제시하기 어렵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유전정보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플로스원’에는 톡소포자충을 뇌에 감염시키면 알츠하이머로 인한 신경퇴화를 막고
학습
및 기억 능력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논문의 교신 저자인 신은희 서울대 의대 기생충학교실 교수는 “처음에는 톡소포자충이 알츠하이머를 증가시킬 것이라고 예상하고 실험을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