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d라이브러리
"
돌연변이
"(으)로 총 7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바라 맥클린토크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거둬들인 종자는 전세계의 연구소로 전파되고 그녀가 얻은 지식은 유전자의 규칙과
돌연변이
과정에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재조명을 받고 있는 것이다. 노벨상위원회의 말대로 한때 빛을 보지못했던 그녀의 업적은 오늘날 '제임스 왓슨' '프란시스 클릭'이 1953년 발견한 DNA의 ... ...
각광받는 식용버섯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새로운 형질을 발현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유전자 염색체 세포질 등에
돌연변이
를 일으켜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는 방법이다.이 방법은 고온 저온 변온 등의 온도 처리법에 의해 핵분열을 교란시켜 배수성핵을 유도하는 것인데 성공률은 매우 낮다. 방사선조사방법으로는 자외선 X선 γ선 ... ...
세계 최초로 꽃의 색깔을 변하게 해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드로켄프롤이 환원되면 짙은 적색의 보통 페튜니아가 되지만 환원에 필요한 효소가
돌연변이
로 결핍되기 때문에 극히 옅은 핑크로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시들러박사팀은 이 효소를 옥수수에서 발견하여 추출했다. 그리고 페튜니아의 세포를 분리하여 그 프로토플라스트(protoplast·세포벽을 제외한 ... ...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출발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버클리의 연구팀이 이룩한 가장 큰 성과는 DNA에서 일어난
돌연변이
의 수를 세어 '이브'의 생일을 계산해 낸 것. 계산에 따르면 적어도 유전학적으로 볼 때 지금의 모든 인류는 약 20만년전(14~29만년전)에 살았던 '운좋은' 한 여인 '이브'의 후손이라는 것이다. 물론 그 당시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별안간 양서류가 탄생했다고 할 때 단기간에 일어나는 급격한 적응을 설명하자면 DNA의
돌연변이
에 의한 완만한 진화로서는 설명하기 어렵다. 거기에는 보다 다이너믹한 유전자의 변화가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 미국으로 일이 순조롭게 진척되면서 도네가와는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박사는 놀라운 진화력을 가진 막대기 모양의 발생학 설명을 제시하였다. 임의적인
돌연변이
와 어느 정도 자의적인 자연 도태의 설명을 통해서 그 프로그램은 놀랍게 복잡한 그리고 자주 지상의 생명체와 놀랍도록 흡사한 모양으로 진화해 나가는 것이었다. 이 모델들은 새로운 진화의 경로를 보여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노출된 곳의 어린이는 가장 적게 노출된 곳보다 5배의 발암률을 보였다는 것. 자기장이
돌연변이
를 일으키진 않지만 성장하는 어린이에게 암유발을 도울 생물화학적 변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이 연구는 아직 확정적이진 않지만 전자파의 위험을 다시금 느끼게 한다. 전자공학의 발달이 ... ...
환상의 세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입에서 불을 토하는 용, 날개달린 말 등등. 오늘날에도 극장에 가서 거대한 괴물, 괴상한
돌연변이
종, 전설같은 기계인간 등에 관해서 재미있게 영화를 보곤 한다. 왜 환상의 동물을 그려냈을까 그것들은 우리들의 머리속에, 예술작품 속에, 그리고 영화 속에 생생하게 살아 남아 있다. 그렇다면 ... ...
방사선처리식품 과연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인해 미생물이 보다 위험한 형태로 변형될 가능성이다. 그러나 방사선에 의해 미생물의
돌연변이
가 일어났다는 보고는 거의없다. 식품에 여러차례 방사선을 쬘 경우 면역성을 갖는 병원균의 변종이 생길 수도 있지만 식품조사는 오직 한번만 쬐야하므로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다. 계속되는 ... ...
남자와 여자는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7%정도 적다. 따라서 세포핵도 남성쪽이 작다. 그리고 핵이 작은 쪽이 생존에 불리한
돌연변이
가 일어나기 쉽다. 좁은 곳에서 대사가 일어나면 DNA의 고리가 끊어지거나 비틀리거나 하는 착오가 일어나기 쉽기때문이다. 그러나 X끼리는 한쪽의 X에 결함이 있어도 다른 한쪽의 X가 보충하지만 XY일때는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