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6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적당히 쓰세요”
2015.07.29
도와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디지털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폐해를
공학
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KAIST ... ...
배상민 KAIST 교수 ‘레드닷어워드’ 대상 수상
2015.07.28
공모전이다.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디자인보다는 첨단 기술이 가미된 아이디어를 뽑는
공학
계열 디자인 대회로 세계 4대 디자인 상 중 하나로 꼽힌다. 올해는 61개국에서 4680개 작품이 출품됐다. 배 교수팀은 SK텔레콤과 협력해 소외된 지역 아이들에게 평등한 기회를 주기 위한 모듈형 이동식 ... ...
PART 0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7.28
소리인 셈이다. 실제로 그런지 확인해 보고자 지난 7월 7일 김성필 UNIST디자인 및 인간
공학
부 교수의 연구실에서 직접 뇌파 실험을 해봤다. 피실험자에게 공포영화 속에서 실제로 귀신이 등장하는 장면과 전조가 되는 장면(주인공이 한 곳을 응시)을 번갈아 보여주며 뇌파를 측정했다. 실험은 10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07.28
저녁까지 입안에서 유자 향이 가신 적이 없을 정도였어요.” 이런 방법을 식품
공학
에서는 ‘관능평가’라고 한다. 동일한 식품, 동일한 성분이라도 사람마다 미각을 느끼는 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성분을 토대로 맛을 평가하기란 쉽지 않다. 그보다는 잘 훈련된 검사원들이 직접 먹어보고 맛,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7.28
개발하는 기술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부경생 서울대 농생명
공학
부 명예교수. 서울대 농생물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곤충학을 전공한 뒤 1982년부터 서울대 농생대에서 교편을 잡았다. 1997~2010년 중국 연변대 농학원 명예교수, 2002~2004년 ... ...
부작용 없는 임플란트 재료 나온다
2015.07.28
생기는 부작용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호정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
공학
연구소 선임연구원(사진) 팀은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와 공동으로 생체소재의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세포 조절 나노패터닝’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생체재료가 체내에 ... ...
배터리 충전속도 3배 높이는 나노막 개발
2015.07.27
개선할 수 있는 분리막을 개발했다. 박수진·이상영 울산과기대(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
부 교수팀(사진)은 다양한 크기의 구멍이 균일하게 뚫린 벌집 모양의 나노막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전지에 사용되는 분리막은 구멍이 많고 균일할수록 전지의 성능을 끌어올린다. 양극과 음극 ... ...
미래 사회 이끌 키워드는 '호기심과 상상력'
과학동아
l
2015.07.27
스스로 자동차에서 내려야 하는 과제가 있었는데, 휴보는 중력에 몸을 맡기는, 로봇
공학
에서 좀처럼 상상하기 힘든 발상 덕분에 자연스럽게 자동차에서 내려 쉽게 통과할 수 있었다. 강연에 참가한 학생이 휴보의 손과 악수하고 있다.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내가 노벨상 주인공!" 행사장에 ... ...
투명하고 쭉쭉 늘어나는 히터 나왔다
2015.07.26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히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고승환(사진)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팀은 60%가량 늘어나면서 섭씨 100도의 온도에도 끄떡 없이 작동하는 히터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14일자에 게재했다. 최근 세계 각국 연구진이 앞다퉈 ... ...
뇌파 인정 않던 뇌과학자가 뇌파로 브라질 시축 성공시킨 이유
2015.07.26
털어놓는 책이라고 보는 편이 더 맞다. 하지만 헐리우드급 뇌
공학
이 아닌 ‘진짜 뇌
공학
’이 알고 싶은 독자라면 이만큼 친절하게 현주소를 알려주는 책을 찾기 어려울 것이다. ... ...
이전
751
752
753
754
755
756
757
758
7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