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65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식, 관절염 치료용 신규물질 AKD 기술이전
2015.07.02
와 안경섭 생명연 책임연구원 - 동국대,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제공 동국대와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이 개발한 천식·관절염 등 난치성 염증질환 치료용 신규물질 ‘AKD’가 아주약품으로 기술이전 됐다. AKD는 미래부 기초연계후보물질 발굴사업을 통해 동국대와 생명연이 개발한 물질로, 2일 아주약품 ... ...
자일리톨 만드는 ‘슈퍼 미생물’ 개발
2015.07.02
여러 종류의 바이오매스를 동시에 발효시킬 수 있는 미생물을 만들고 국제학술지 ‘대사
공학
(Metabolic Engineering)’ 7월호에 게재했다. 최근 기후변화와 석유자원 고갈 문제가 부각되면서 석유 추출물 대신 생물자원을 이용해 화학물질의 원료를 만드는 바이오화학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 ...
“사이배슬론은 장애인과 로봇 기술이 만난 스포츠”
2015.07.02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엑소스켈리턴(외골격) 로봇’ 등을 이용한 의
공학
분야 전문가인 리너 교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차 경주대회인 F1에서 우승하기 위해서는 기술력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사이배슬론 역시 로봇 기술을 다루는 데 능숙해야 우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100배 빠른 열차·버스용 인터넷 나왔다
2015.07.01
관련 기술을 시연하고 기차 1대 당 1Gbps의 전송속도를 시연할 계획이다. 미국전기전자
공학
회(IEEE)를 통한 국제표준 등록도 진행 중이다. 김 실장은 “내년초 상용화를 진행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며 “국제표준 등록에 성공하면 세계 시장 진출도 가능할 걸로 보고 ... ...
“저는 빛만 있으면 암세포를 부숴 버립니다”
2015.06.30
나건 가톨릭대 생명
공학
과 교수(사진)팀이 유전자 항암치료의 효율을 6배 이상 높이는 나노 전달체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17일자에 발표했다. 최근 암치료에서 부작용과 환자가 겪는 고통이 큰 화학 항암제 대신 특정 유전자를 몸에 넣어 암을 치료하는 ... ...
휘어지는 아몰레드 상용화 앞당겼다
2015.06.30
아몰레드(AMOLED) 상용화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이태우 포스텍 신소재
공학
부 교수팀은 쉽게 휘어지면서도 물과 산소에 취약한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소자를 보호하는 밀봉법을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23일자에 발표했다. 아몰레드(AMOLED)라고도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햇빛이 강한 날에도 문제없이 앞을 볼 수 있다. 여기에 권인소 KAIST 전기및전자
공학
부 교수팀이 개발한 시각처리 프로그램을 이식해 휴보가 카메라와 레이저로 주변을 촬영하면서도 데이터를 더욱 정확하게 처리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 DRC휴보Ⅱ 가슴에는 두 대의 컴퓨터가 들어 있다. 한 대는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기술검토보고서 325쪽 중 절반가량을 여기에 할애했을 정도다. 노명일 서울대 조선해양
공학
과 교수팀은 인양점을 어디에 설치하면 중량이 가장 고르게 분산될지 4차례에 걸쳐 시뮬레이션했다. 첫 시뮬레이션에선 57개였던 인양점이 나중엔 93개까지 늘어났다. 보고서에선 배가 조류에 부딪혀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있는 이득을 포기하기엔 너무 시기상조라는 뜻이다. 갓 태동한 이 분야에 대해 앞으로
공학
적, 사회적, 법적, 윤리적으로 거듭 숙고해야 한다. 지금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준 모든 과학기술은 초기 개발 당시 그 시대의 양날의 검이었다는 역사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 인공지능은 ... ...
“유전자 끼리 소통 과하면 우울증 걸리기 쉬워”
2015.06.28
등 주요 정신질환의 발병 원인을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이도헌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유전자동의보감사업단장·사진)팀은 미국 스탠리의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정신질환자들에게 나타나는 과도한 면역 및 염증반응 과정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정신질환은 그냥 넘어가기 ... ...
이전
755
756
757
758
759
760
761
762
7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