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휴보가 DARPA 챌린지에서 우승한 비결은?2015.07.25
- 오준호 KAIST 교수 - 동아사이언스 제공 "사람 얼굴로 로봇을 만들때 자칫 잘못하면 귀신얼굴이 되요. 그래서 예쁜 얼굴 대신, 주름살이 있는 할아버지 얼굴로 만들 ... 휴보 강연이 이후에도 3D프린터가 변화할 세상, 아인슈타인과 공학의 만남, 생체모방공학의 세계 등의 강연이 이어졌다 ... ...
- 과학자와 떠나는 지적(知的) 바캉스 성황리에 열려2015.07.25
- 4개의 강연이 펼쳐진다. 퓨처 클래스 세션은 가상현실과 3D 프린터, 게놈 편집, 생체모방공학 등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첨단 기술의 미래를 차례로 소개한다. 인간형 로봇 ‘휴보’를 주제로 한 오준호 KAIST 교수의 특별강연은 오후 1시에 열리며 SF 문학에 필요한 과학 지식을 다루는 강연도 ... ...
- 피 안 멎는 혈우병, 세포치료제로 고칠 수 있나2015.07.24
-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과 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 김종훈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 등으로 이뤄진 국내 공동 연구진이 피가 잘 멎지 않는 혈우병 환자의 세포에서 줄기세포를 만든 뒤 혈우병 돌연변이를 교정해 혈액응고인자를 만드는 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 ... ...
- 삼성이 원하는, 이런 게 진짜 도전 연구 ‘셋’2015.07.24
- 일이 목표”라고 말했다. ● 그래핀으로 만드는 홈시어터 최정우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는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으로 스피커를 만들고 있다. ‘그래핀 홈시어터’로 입체적인 소리를 만들어 내는 게 최 교수의 계획이다. 그래핀 스피커는 종이처럼 생긴 평면 스피커다. 그래핀에 ... ...
- 고교 1학년 성적이 3학년까지 계속 간다? NO!동아일보 l2015.07.23
- 인문계에서는 명지대(서울·아동학과 기준 3.38등급), 자연계에서는 세종대(건설환경공학 기준 3.2등급) 등 이른바 ‘인서울 대학’도 노려볼 수 있다. 고교 1학년 내신이 안 좋았지만 3학년 들어 역전에 성공한 학생들은 하나같이 “뒤처진 것을 인정하고 공부의 기본기부터 다시 다져야 한다”라고 ... ...
- 혈관과 뼈 동시에 3D프린터로 출력2015.07.21
- 교수팀과 이상화 가톨릭대 성바오로병원 치과 교수팀, 심진형 한국산업기술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3D프린터로 내·외부에 혈관이 골고루 분포된 뼈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하고 영국왕립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재료화학저널B(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B)’ 21일자에 발표했다. 그 동안 ... ...
- ‘독한 놈들’ 인공 세포막으로 확인한다2015.07.21
- 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전태준 인하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김선민 기계공학과 교수가 공동으로 이끄는 융합연구팀은 신약 후보물질이나 독성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동물실험 없이도 물질의 독성여부나 친환경성을 판단할 수 있어 ...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 ankle exoskeleton)을 개발하는데 마침내 성공했다는 미국 카네기멜론대와 노스캐롤라이나대 공학자들의 연구결과가 실렸다. 다리에 부착해 보행을 돕거나 무거운 짐을 운반할 수 있는 외골격 로봇 연구가 활발하지만 이는 동력장치다. 즉 외골격의 모터가 작동해 힘을 낸다는 말이다. 이 경우 설사 ... ...
- 뜨거워진 스마트폰, 어떻게 식히나2015.07.20
- 대폭 줄인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신창환 서울시립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사진)팀은 기존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전력으로도 구동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성능이 좋아지면서 반도체 소자의 밀도는 2년간 30% ... ...
- 이성주 KAIST 교수, 분산컴퓨팅시스템 학술대회서 최우수 논문상2015.07.20
- KAIST 전산학부 교수(사진)는 이달 2일 미국 오하이오 주 컬럼버스에서 ‘세계전기전자공학연합회(IEEE)’ 주최로 열린 제 35회 분산컴퓨팅시스템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분산컴퓨팅시스템 학술대회는 1979년 시작돼 관련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권위를 갖춘 학회다. ... ...
이전7527537547557567577587597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