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과학동아 l2009년 06호
- 각종 세균이 작용하면 플라크가 만들어진다”고 밝혔다. 펠리클은 두께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이하의 얇은 막으로 플라크 형성의 첫 단계로 알려져 있다. 양치 후 몇 시간 안에 먼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가 펠리클에 작용한다. 즉 분비물을 내놓아 그 표면을 덮고 치아와 치아 사이에 ... ...
- 건축구조시스템공학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우리나라 인천에도 151층 높이의 인천타워가 세워질 예정이라고 한다. 어떻게 수 백 미터 높이의 건물이 중력을 비롯한 힘들에 대항해 존재할 수 있을까? 1 건축구조시스템공학이 뭐죠?건축을 이루는 중요한 3요소는 구조, 기능, 미(美)다. 건축구조시스템공학은 안정적으로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건축 ... ...
- 낮이 가장 긴 달은 하지가 있는 6월인데 왜 날씨가 가장 더운 달은 8월인가요?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자외선을 차단합니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A, B, C로 분류됩니다. 파장이 100~280nm(나노미터, 1nm=10-9m)인 자외선 C는 가장 위험하지만 오존층이 막아줍니다. 자외선 차단크림에 적힌 SPF는 자외선 B(파장 280~320nm)를 차단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SPF1은 보통 자외선을 15~20분 동안 차단한다는 의미로 SPF1 ...
- 시료 표면 분석해 업그레이드된 신소재 만든다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이차이온질량분석기(SIMS)를 들었다. SIMS는 이온빔(일차이온)이 지름 5㎛(마이크로미터, 1㎛=10-6m) 이하가 되게 한 점으로 모아 시료에 쏜다. 한 번에 볼 수 있는 영역이 최대 5㎛라는 말이다.SIMS를 이용하면 고체 표면에 불순물이 섞였을 경우, 불순물이 어디에 있나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불순물이 ...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움직이기 때문에 작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일반 모터와 달리 미끄러지지 않고 nm(나노미터, 1nm=10-9 m) 규모로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자 현미경이나 반도체 정밀가공장비처럼 아주 세밀한 움직임이 필요한 곳에 쓰이고 있다. 압전체는 나노기기를 만들고 나노기술을 완성하는 데 필수인 ...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과학동아 l2009년 05호
- 한다.국내 한 화장품 회사의 연구원은 “화장품에 쓰는 탤크 입자는 지름이 1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정도여서 피부를 뚫고 들어갈 수 없다”며 “화장품에 탤크를 쓰는 건 건강에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Q5 석면탤크, 먹어도 되나?베이비파우더에 쓰인 석면탤크가 제약업체로도 ...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과학동아 l2009년 05호
- 물리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었던 김필립 교수팀은 원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미터 크기의 연필을 만든 뒤 마치 종이에 글씨를 쓰듯이 그래핀을 만드는 연구를 몇 년 동안 계속 하고 있었다. 하지만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런 방식으로 그래핀을 분리해내진 못했다.그러던 중 200 ... ...
- 초고도근시의 희망 렌즈삽입술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초고도 근시환자는 각막을 깊게 깎아야 한다. 하지만 각막 두께는 보통 500~5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로 한계가 있어, 이보다 두께가 얇거나 시력이 -10 디옵터 이하인 초고도 근시 환자는 수술을 받기 어렵다.렌즈삽입술은 각막을 그대로 보존하기 때문에 초고도 근시와 초고도 원시를 모두 교정할 ... ...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과학동아 l2009년 05호
- 하나까지 정묀 하게 수술하거나 기존 레이저로 가공하기 힘들었 던 재료도 수백nm(나노미터, 1nm=10-9m)까지 초정묀 가공을 할 수 있습니다.”광주과학기술원 펨토과학기술연구센터 극초단 광양자빔 연구시설 구축사업 책임자인 이종민 석좌교수의 설명이다. 펨토과학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아흐메드 ...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과학동아 l2009년 05호
- 다발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근섬유 역시 최소 단위가 아니며 지름이 1~2㎛(마이크로미터, 1㎛=10-6m)인 근원섬유가 모인 다발이다.이런 구조적 특징이 근육을 유연하고 튼튼하게 만든다. 가느다란 실 여러 가닥을 엮어 만든 밧줄이 한 가닥의 두꺼운 밧줄보다 더 유연하고 양 옆에서 잡아당겨도 쉽게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