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과학동아 l2009년 05호
- 하나까지 정묀 하게 수술하거나 기존 레이저로 가공하기 힘들었 던 재료도 수백nm(나노미터, 1nm=10-9m)까지 초정묀 가공을 할 수 있습니다.”광주과학기술원 펨토과학기술연구센터 극초단 광양자빔 연구시설 구축사업 책임자인 이종민 석좌교수의 설명이다. 펨토과학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아흐메드 ...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과학동아 l2009년 05호
- 등과 함께 발표한 이 논문은 파장이 수 mm인 테라헤르츠파 영역의 빛을 폭이 수십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금속 나노 구멍에 통과시켜 빛의 세기를 1억 배 이상 증폭시키는 실험에 성공한 내용을 담고 있다. 파장이 3mm인 테라헤르츠파를 폭이 50nm에 불과한 금속 나노 구멍에 통과시키는 데 ...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과학동아 l2009년 05호
- 한다.국내 한 화장품 회사의 연구원은 “화장품에 쓰는 탤크 입자는 지름이 1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정도여서 피부를 뚫고 들어갈 수 없다”며 “화장품에 탤크를 쓰는 건 건강에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Q5 석면탤크, 먹어도 되나?베이비파우더에 쓰인 석면탤크가 제약업체로도 ...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과학동아 l2009년 05호
- 물리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었던 김필립 교수팀은 원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미터 크기의 연필을 만든 뒤 마치 종이에 글씨를 쓰듯이 그래핀을 만드는 연구를 몇 년 동안 계속 하고 있었다. 하지만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런 방식으로 그래핀을 분리해내진 못했다.그러던 중 200 ... ...
- 투명하게 빛나는 LED 사인보드 ‘루미시스’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일일까. 전구에 연결된 전선이 보이질 않는다. 눈에 보이진 않지만 수십 μm 크기(마이크로미터, 1μm=10-6m)의 초미세회로(패턴)가 LED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탑나노시스가 지난 4월 새로 출시한 사인보드(간판의 일종) ‘루미시스’는 탄소나노튜브(CNT)로 만든 투명전극에 차세대 ...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원인을 알아내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께 500nm(나노미터, 1nm=10-9m)의 알루미늄 결정은 힘을 가할 때마다 선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배열된 구조가 움직인다. 이것은 마치 강한 지진파가 전달될 때 지층이 뒤틀리거나 끊어지는 모양과 유사하다.그는 이 실험을 하기 ... ...
- 달콤쌉싸름한 초콜릿 대해부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4호
- 정도로, 이 정도가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가장 맛있게 느껴진다고 한다.*㎛(마이크로미터) : 1000분의 1㎜더 맛있는 초콜릿을 위해!만들어진 카카오매스에 설탕이나 유지를 넣어서 굳히기만 해도 초콜릿이 되지만 식품공학자들은 조금이라도 더 맛있는 초콜릿을 만들기 위해서 새로운 방법을 ...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과학동아 l2009년 04호
- 85℃나 되는 온천이나 깊은 바다 속에도 살고 있다. 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여서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박테리아는 다양한 지역적 조건에 놀라울 정도로 잘 적응한다. 예를 들어 상당수의 박테리아는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도 썩은 동물이나 식물에서 나오는 ... ...
- [화학]용액의 특성과학동아 l2009년 04호
- 의한 삼투압은 약 4.9기압이 되고, 이것을 물기둥의 높이(h)로 환산하면 그림 (가)처럼 약 50미터 정도가 돼 실험이 불가능하다.따라서 그림 (나)처럼 0.1M NaCl수용액에 담가 삼투압을 재면 반투막을 경계로 두 용액의 NaCl의 농도는 같으므로 물기둥이 위로 올라가는 삼투현상은 순수하게 녹말이 녹아 ...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과학동아 l2009년 04호
- 수증기가 구름 입자로 성장할 수 있는 일종의 ‘씨앗’이다. 최소반경이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이상인 액체 또는 고체 입자가 존재하면 수증기가 응결해 구름을 형성하는 ‘구름 입자’로 성장하기 쉽다. 기본적으로 에어로졸 입자들의 크기는 0.005μm에서 1μm 이상까지 다양한데 대부분 구름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