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사
끼니
먹이
meal
식음
쌀
벼
d라이브러리
"
밥
"(으)로 총 8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CD-롬 타이들, 양보다 질 높이는데 주력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아직은 걸음마 단계라 외국의 세련된 타이틀에 비하면 유치한 느낌도 없지 않지만 한술
밥
에 배부를 수는 없는 일.CD-ROM 타이틀 전문업체인 솔빛조선미디어 타이틀부에 근무하는 한나리씨는 "영화 산업과 마찬가지로 CD-ROM 타이틀 분야에 일찍 뛰어든 외국이 기술에서 앞설 수밖에 없다. 외국에서 ... ...
기능성 식품 알고 먹자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극소수의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의 대부분은 아직
밥
김치 국(우거지)을 기본으로 하는 훌륭한 균형식을 먹고 있으니 식이섬유를 약처럼 먹을 필요가 없다. 소비자들 식품과 약품 구분할 줄 알아야특수한 생리기능을 가진 식품소재로서 현재 유용하게 사용되고 ... ...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목피를 재활용해 만든다.먼저 제재소에서 생기는 톱
밥
과 목피는 목재소에서 생기는 대패
밥
과 쓰고 남은 각목 판자 등과 함께 혼합돼 불에 태워진다. 일종의 숯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이 숯가루에 점결제와 수분을 넣어 섞은 다음 점화제를 뿌리고 구멍탄과 같이 구멍을 뚫어 성형해내는 게 ... ...
화학 - 각종 음료 비타민C 함유량 알아낸다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질량을 알아낸다.(표)는 서울 공항중학교 과학반의 실험결과임. 용액 만들기녹말용액-
밥
을 끓인 물을 사용하거나 감자가루 등의 녹말가루를 끓는 물에 녹여서 사용한다.요오드 용액(0.005M)-고체 요오드 1.3g을 에탄올 500mL에 녹이고 요오드화 칼륨(KI) 약1.6g 정도를 물 500mL에 녹여 두 용액을 섞고 약간의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핵심이 된다. 이 배고픈 상태의 미생물은 유입되는 폐수 중의 각종 유기물을 더운
밥
찬
밥
안가리고 열심히 분해 섭취하려 한다. 그렇다고 해서 미생물 수에 비해서 먹이를 너무 적게 주어 굶어 죽을 지경이 되면 물론 처리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표준활성오니법의 경우 미생물체 1kg당 하루 0.3kg ... ...
재활용 기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민간 산업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을 돕고 있다. 회사의 사장인
밥
모하드는 러시아의 폭탄과 탄환들의 포장물에서만 약 50만t의 알루미늄 철 황동이 재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다. 일부 재활용에는 높은 비용이 들지만 (내생으로) 얻어지는 자원들을 팔아서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형태(일반미 정부미)에 따라 가열하는 패턴을 달리한(뜸들이는 방법 등) 퍼지
밥
솥은
밥
맛을 돋우는데 탁월한 솜씨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본에서는 80년대부터 퍼지열풍이 불어 90년대 초에는 퍼지가 약방의 감초처럼 사용 되고 있으나, 국내에서의 퍼지이론 소개는 다소 늦어 90년대 ... ...
지구과학- 방사능이 지구의 역사를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4시대는 캘린더의 중앙에 사각형으로 표시돼 있다.첫번째 시대는 지구가 호랑이의
밥
이 돼 종말을 맞았고 두번째 시대는 인류가 무서운 바람에 의해 멸망했으며 살아 남은 사람은 바람에 날려가지 않으려고 나무에 매달린 원숭이로 변했다. 세번째 시대에는 사람들이 무서운 돌과 용암의 세례로 ... ...
노랑부리백로와 모감주나무 발견이 최대 수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등 소금기 많은 식물을 소가 많이 먹으면 살이 찐다고 합니다. 사람도 짜게 먹으면
밥
을 많이 먹는 것과 같습니다.윤원석 : 이러한 탐사는 전국에서 모이니까 다음부터는 선생님이 오실 때 그 지역의 생태계 논문을 가져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이경환 : 요즘 입시위주의 교육에 끌려다니다 보니까 ... ...
동요의 가사 속에만 남아 있는 따오기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것을 쉽게 볼 수 있다고 보고했으며 영국인 캠벨(Campbell)은 봄 가을 쉽게 발견돼 사냥꾼의
밥
이 되고 있는 새라고 표현했다. 그러다가 1966년 2월10일 판문점부근에서 경희대 원병오교수와 조지 아치볼드(George Archibald)에 의해 1-4마리가 각각 관찰되고 1974년 12월 8-10일 1마리가 더 목격된 이 후로는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