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후 하수관, 로봇으로 꼼꼼히 검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가능성이 있는 하수관 7만 6000여 개를 발견했지요. 즉, 1km 당 평균 4.9개의 결함이 있는 셈이에요. 환경부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5년간 노후 하수관을 교체할 예정이랍니다. 꿈틀꿈틀, 하수관을 검사하는 로봇! 지금까지 하수관을 탐지하려면 내시경처럼 카메라가 달린 긴 선을 안으로 들여 ... ...
- Part 3. 구름 위의 폭풍을 쫓는다! 스톰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X선, 감마선 측정 자료를 함께 분석할 예정”이라며 “가장 재미있는 연구가 남아있는 셈”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극한 직업! 폭풍 사냥꾼이 간다!Part 1. 폭풍 구름 위를 날다! 허리케인 헌터Part 2. 바다에서 폭풍을 기다린다! 웨이브 글라이더Part 3. 구름 위의 폭풍을 ... ...
- Part 1. 농게의 정체가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차지해요. 즉, 수컷 농게는 몸무게의 반 정도 되는 아주 무거운 팔을 항상 들고 다니는 셈이지요. 이를 지탱하기 위해 수컷 농게는 한쪽 근육이 더 발달했어요. 성장 초기엔 양쪽의 근육이 비슷하다가, 갑각 크기가 5mm 정도가 되면 큰 집게로 성장하는 쪽의 근육은 더 길고 치밀해지지요. 사실 ... ...
- Part 3. 흰발 농게, 새집으로 이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서식지의 유형 및 유전적 다양도를 분석하는 일도 하고 있어요. 복원을 위한 준비작업인 셈이지요. 하지만 무엇보다 이들이 우리나라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게 가장 중요하답니다. 게는 특이한 생김새 덕에 우리에게 친숙한 동물이지만, 아직 밝혀진 것이 많지 않아요. 심지어 과학자들은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눈 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한다. 다리 깃털이 일종의 ‘눈 신발’ 역할을 하는 셈이다. 또 펭귄(펭귄도 조류다)이 눈 위를 이동할 때에도 깃털이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펭귄은 총총히 걷기도 하지만, 배를 깔고 미끄러져 슬라이딩을 하기도 한다. 이때 배 부분의 매끄러운 깃털이 썰매 역할을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우주에 인류가 아닌 다른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앨리슨 혹스 NASA 에임스연구센터 박사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광활한 우주 안에서 지구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케플러 이어 ‘테스’ 활동 시작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생물공학, 환경공학, 나노기술, 신재생에너지 등 첨단 분야로 학문의 경계가 넓어진 셈이다. 교수진 2년 연속 전공 평가 세계 16위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진은 다양한 연구 분야만큼 면면도 화려하다. 총 33명에 이르는 교수진이 공정시스템,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생물환경 등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6.2Mb(메가비트)에서 115Mb로 18배 빨라졌다. 최 단장은 “사실상 실시간 관측이 가능한 셈”이라고 말했다. 만약 한반도 주변을 관측한다고 하면 위성이 우주에서 촬영한 데이터를 지상으로 전송하고, 지상에서 이것을 보기 쉬운 영상으로 가공한 뒤 다시 위성으로 올려보내고, 위성이 기상청 등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국내에서 척추질환 환자는 무려 1260만 명에 육박한다. 국민 4명 중 1명이 척추질환을 앓는 셈이다. 이 중 일명 허리디스크로 불리는 추간판탈출증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는 193만여 명으로,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했다. 척추질환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증거다. 게다가 평균 수명이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수했다. 생명공학기술(BT)과 정보기술(IT)을 융합한 생물정보학 연구에 최적화된 셈이다. 김 교수는 “크리스퍼(CRISPR-Cas9)로 대표되는 유전체 교정 기술을 함께 이용하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유전형과 표현형의 연결고리도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직 해결해야 할 숙제는 있다. 수만 개의 단일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