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학부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학부
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11
수 있도록 기초실력을 단단하게 해주는 것이 대학의 역할"이라고 설명한다.대학의
학부
과정은 점차 본격적인 학문연구를 하기 위한 기초과정, 또는 기업에서 업무를 익히기 위한 교양과정 정도로 변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과를 세분화하고 대학 진학과 함께 자신의 전공이 결정되는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11
기존의 바이러스가 아닌 제법 짜임새 있는 신종 바이러스를 만들려면 적어도 전산학으로
학부
과정을 마친 사람이 일정 기간 그 일에만 몰두해야 가능하다고 한다. 따라서 국내에서 종종 발견되는 변종 바이러스들은 해커들의 작품으로 인정되지만, 새로운 바이러스는 전문가가 특정 목적을 가지고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11
'개별연구'는 연구중심의 대학(원)이라는 KAIST의 캐치프레이즈를 십분 반영하는 것이다.
학부
3학년이 되면 누구나 석사과정에서 다루는 분야를 자신의 연구과제로 삼아 그 분야의 석박사과정생은 물론 교수와 직접 접촉하며 무엇을 연구하는가를 미리 살펴볼 수 있다. 4학년1학기까지의 개별연구가 ... ...
수의학이 인간의 질병해명에 기여
과학동아
l
199111
심장의 부정맥으로 인한 것이 아닐까 하는 가설을 세우고 있다.코넬대(뉴욕주) 수의
학부
모이즈교수는 독일산 세퍼드를 이용한 동물실험으로 이러한 가설을 입증 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녀는 근친 교배를 통해 유아성 부정맥 증세를 보이는 개를 낳게하고, 이 동물의 심전도를 분석하는 연구를 ...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10
수학을 쓰지 않고 완전히 고전기하학(특히 구면기하학)의 힘으로 풀 수 있었다(대학
학부
수준의 수학실력만 있으면 누구나 풀고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이로써 공간에서 구의 평균밀도의 상한이 0.77836에서 0.7547로 낮아졌을 뿐만 아니라, 이 결과와 '준 대역적' 평균밀도라는 개념을 사용, 케플러의 ... ...
'과학기자재 보내기 운동'을 다시 본다
과학동아
l
199109
사실이다.열의를 가진 과학교사들의 과학반특별활동이나 방학을 이용한 과학캠프조차도
학부
모와 동료교사들로부터 '입시에 방해되는 쓸데없는 짓' 정도로 치부되는 교육 현실을 바로잡지 못한다면 애써 마련한 과학기구들도 먼지만 뒤집어 쓴 채 녹슬 수밖에 없다.과학교과 운영 내적인 문제는 더 ... ...
인간의 눈을 흉내낸 망막소자
과학동아
l
199108
시각시스템을 설계하면서 '망막소자' 개념을 진척시킨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마호왈드는
학부
때 생물학을 전공하고 박사과정에서 아날로그 VLSI(초대규모 집적회로)를 연구하고 있는 박사과정 학생이며, 미드는 컴퓨터과학과 교수로 30년 이상 디지털 VLSI연구에 종사해온 베테랑이다.지난 40년간 ... ...
고집적반도체 기능 높이는 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108
중 하나인 멘도타 호수옆에 자리잡고 있어 주변경관이 매우 아름답다.이곳의 전기과는
학부
생과 대학원생을 모두 합쳐 1천명 정도되는 커다란 과다. 그런데 이는 한국의 공과대학 분류상 전기과 전자과 계측제어학과를 모두 합친 셈이므로 이들과 결과적으로 학생수는 비슷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08
졸업한후 부모를 따라 캐나다에 이민간 그는 토론토대학에서
학부
와 석사과정을 마친다.
학부
전공은 컴퓨터와 심리학, 대학원에서는 인지심리학을 전공했다.대학 4학년때인 82년 여름 잠시 고국을 방문한 그는 국내에 이렇다할 한글 워드프로세서가 없는 것을 보고 자신이 이를 개발해보기로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06
고집스럽게 과학 소설의 창작에 도전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캘리포니아대학 이론물리
학부
에서 박사학위를 획득하고 연구생활에 돌입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과학소설을 쓰기 시작한다. 1980년에 발표된 대작 '타임 스케이프'(Time Scape)는 그의 최고 걸작이라 할 수 있다. 과학자 작가들의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