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학부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좋아하는 과목을 집중적으로 하면서…
과학동아
l
198901
다 공부할 수 없다. 관심있는 분야를 스스로 찾아 공부해야만 했다.대체로 우리 과의
학부
생들은 거의 전원이 대학원에 진학,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개척자가 된다. 공부의 난이성은 기타 다른 공학들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또 한차례의 선택 앞에서또 우리 과는 자연과학의 거든 ... ...
잠수함 만드는데 매혹 조선공학 개척에 평생을 바치다
과학동아
l
198811
입학할래야 할 수도 없었거니와 당시 경성제대 이공
학부
에 조선공학과는 없었다. 이공
학부
에는 이학계통으로서 물리와 화학의 두 학과, 공학계통으로서 기계·전기·토목·응용화학·광산야금 등 5개 학과가 개설되어 있었는데, 나는 그중 기계과를 택했던 것이다.내가 조선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은 ... ...
기초과학·경계학문이 가능성 커
과학동아
l
198811
택해도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또 아무리 본인이 우수하다 해도
학부
과정의 4년 공부만으로는 도저히 전문과학자가 될 수 없다. 어떤 분야를 택하든 어느 수준급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지식과 엄청난 훈련이 필요한 것이다. 알기 쉽게 말하면 박사과정을 마친 후에도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10
꼭대기에 설치된 태양망원경이 있다. 그곳에서 20km 북쪽으로 가면, 이르쿠츠크 대학 생물
학부
소속의 연구소가 나온다.바이칼의 수질은 바이칼호로 하여금 현시대의 전설을 낳게 한다. 호수 가장 자리 깊이 5m나 되는 곳에 있는 조약돌이 보인다면, 물이 얼마나 맑은지 익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 ...
몸살 앓는 정부출연 연구소의 속사정
과학동아
l
198809
들어간 김박사는 82년 7월 프랑스 빠리로 유학을 갔다. 빠리7대학 고체물리
학부
에서 '건물에서의 에너지해석을 위한 기초이론연구'로 박사학위를 딴 뒤 4년만인 86년 8월 귀국, 동력자원연구소 태양에너지파트에 근무중이다.-요즘 연구소마다 진통을 겪고 있는데요. 프랑스에서 경험한 연구소의 ... ...
'제2지망'이 일생의 학문으로
과학동아
l
198809
없다.현재 국내에서 대기과학 분야를 전공한 사람이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학부
만 마치고 취업을 하겠다는 생각으로 선택하기 보다는, 긴 안목을 가지고 이 새로운 분야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는 소신으로 지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일이다.현재 대기과학(기상학)을 전공한 졸업생들은 ... ...
유기 고분자 전해질
과학동아
l
198807
이것은 결정화하여 이온이용도가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그래서 일본조지(上智)대학이공
학부
'오가타나오야'교수팀은 많이 연구하여온 폴리에틸렌옥시드 대신 폴리에텔계의 코폴리머를 쓴것을 개발했다.새로 개발한 유기고분자고체전해질은 이온 전도도(伝導度)가 높다. 접거나 말수있을정도로 ... ...
스푸트니크 충격은 나를 우주세계로…
과학동아
l
198806
미국에서는 실패하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나는 T.A (Teacher Assistant)라는 장학금을 받았는데
학부
학생들의 실험을 도와주는 대가였다. 말이 잘 통하지 않으니 직접 실험을 도와 주지는 못했고, 실험 장치를 미리 준비하고 실험이 끝나면 실험기기들을 제 자리에 갖다 놓는 일을 한 것이다. 처음에는 ... ...
기계공학은 현대문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198803
발을 구르던 심정은 말할 수 없이 비통한 것이었다.해방 이듬해에 경성대학 이공
학부
가 발족되어 약간의 우리 교수진과 기존재학생과 편입학생들로 학교가 재개되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교수가 태부족이었고 실험실습은 엄두도 못낼 형편이었다. 물론 교수들이나 학생들의 공부하려는 의욕은 매우 ... ...
서울대 전체 공동수석 정성태군 "무엇보다 시간관리를 철저히 했죠"
과학동아
l
198802
한번 안가본 융통성없는 생활이었지만 훗날 즐거운 추억이 되겠죠. 물리학이란 게
학부
에서 쉽게 끝낼 성질의 학문이 아닌것 같아 앞으론 더 꽉짜인 시간표 속의 생활이 될 것 같은 예감이지만 그래도 아직은 즐거운 마음뿐입니다.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