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학부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06
위를 차지하는 식품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지 않았느냐를 예로 제시하고 있다.넷째로 고 3
학부
모들에게는 가위 신앙으로 돼 있는 대학이 기업들에게는 외면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기업이 일본의 대학에 제공하는 연구비의 10배 이상이 미국으로 흘러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두뇌도 미국으로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06
대학의 고학년이나 대학원과정을 거치며 구체적인 세부전공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학부
과정에서 섭취한 기초 지식은 넓은 안목을 갖는 기반이 된다. 특히 일선공학자들은 "경험적인 사례를 보면 기초과학을 충분히 익히지 못하고 기술적인 내용만을 습득한 경우 모방이나 개선은 할 수 있어도 ... ...
지·금·유·학·현·장·에·서·는 응용천재 일본, 기초연구에 눈돌려
과학동아
l
199104
실험을 중시하는 풍토와 조수(助手)제도, 피라미드구조의 연구실로 압축할 수 있다.
학부
생은 3,4학년의 오후시간을 거의 실험실에서 보내며 4학년 2학기에는 각각 대학원 연구실에 배정돼 본격적인 졸업논문의 연구를 시작한다. 물론 졸업논문발표회가 있어서 소정의 기준에 이르지 못할 경우에는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04
'무학과 무학년제도'를 채택해오고 있다. 미국 등 외국대학의 제도를 모방한 것인데,
학부
에서는 자신이 듣고 싶은 과목을 마음껏 골라 듣고 논문을 쓸 때만 전공을 찾아간다는 것이다. 물론 대학원에 진학해서도 논문 쓴 분야를 계속 세부전공으로 선택한다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03
전문위원으로 있는 거미연구소(84년 9월 설립)에서 일하며 거미연구의 대를 잇고 있다.
학부
때는 생화학을 전공했지만 거미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전공을 바꿔 거미계통분류에 전력하고 있다.전씨가 사진을 찍기 시작한 것은 얼마되지 않았다. 무척추동물인 거미는 액침(알코올 이용)을 해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02
따라 귀가 트이기 시작했고 토론에 참석할 때도 있었다. 「유명인사」를 피하라이러한
학부
때부터의 세미나참여는 오늘날 여기 예일대학 박사 과정에 들어와서도 지도교수와 연구과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다른 학생들에 비해 필자를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장에 놓이게 했다. 우선 박사과정때는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01
것이 용이하다.미국의 이공계 대학들은 대부분이 대학원 위주로 운영되기 때문에,
학부
과정에서는(한국에 비해) 전공과목을 그리 많이 수강할 수 없다. 따라서 대학에서 같은 4년을 공부한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을 비교하면 한국학생이 훨씬 앞서 있다고 자부할 수 있다.컬럼비아대학 화학과에서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12
유전자과학 생명과학과 등 등. 대학원 이상의 과정에선 엄밀한 차이가 있을지 모르나
학부
강의는 거의 공통적인 학과들이 이름을 달리해 수험생들을 적잖이 혼란시킨다.내용 변화도 없이 이름만으로 수험생을 끌어모으려 한다는 비판이나 지나친 세분화로 시야가 좁은 공학도를 키울 수 있다는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11
교수직을 맡고있던 이박사는 해방직후 귀국해 경성대학(서울대학교의 전신) 이공
학부
장을 맡게 된다. 그러나 모처럼 해방된 조국에서 과학발전을 위해 봉사하려던 이박사의 꿈은 1946년 소위 '국대안파동'이 일어나면서 물거품이 되고 만다. 그는 국립대학교로 설립된 서울대학교의 초대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11
수상비결-서구 과학계의 계보에 편입1901년 첫번째 노벨상이 수여된 이래 1989년까지 과
학부
문(물리 화학 및 의학생리학)에서 28개국 3백79명의 노벨상수상자를 배출했다. 그러나 아시아국가출신의 노벨상 수상자가 처음 탄생한 것은 1930년이었다. 이 해에 '라만효과의 발견'으로 인도의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